소설을 꿈꾸다 - 소설 작법과 텍스트 읽기
조동선 지음 / 아마존의나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슨 일이든 계속 하다보면, '나도 제법 하는데'라며 스스로 우쭐하게 되는 순간이 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허다하게 많다. 내게는 글쓰기와 피아노가 그랬다. 


소설을 많이 읽으면 읽을수록 '아, 나는 절대 소설을 쓸 수 없겠구나' 이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 소설가가 되겠다는 꿈을 품은 적은,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단 한번도 없었지만, 

나는 절대 쓸 수 없겠구나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을 읽을 때마다 그 작가에 대해 

'경애의 마음'을 한가득 품고 수많은 밑줄을 선사해드린 후 책장을 덮곤 했다. 


대학에서 교양 국어를 수강했을 때, 내가 그동안 중고등학생 시절 들었던 국어 수업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 내용의 강의를 들으면서 신세계를 영접했던 기억도 선명하다. 교수님이 원형과 통과의례, 바슐라르의 촛불의 미학 등등에 대해 이야기하실 때 나는 뭔지는 모르겠지만 이 세계에 빠져봐야겠다고 결심했다. 그 후 전공과목보다 온갖 문학 관련 교양수업에 더 열심이었고 그런 나를 친구들은 걱정 반, 호기심 반 어린 눈으로 쳐다보곤했다. 


젊었던 시절의 얘기는 늘 낭만의 형식으로 기억되는 법이라서, '소설을 꿈꾸다'를 읽고나니 그 시절의 내가 소환되어 쓸쓸하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그 시절에 이런 책을 읽었더라면 얼마나 더 많은 소설을 읽고 더 깊은 생각을 해볼 수 있었을까 싶기도 하다. 


오랜 시간 일반인에게 소설 작법을 강의해온 저자는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를 고민하는 초심자들에게 선배 작가들이 '그것'을 '어떻게' 썼는지를 살펴보라고 조언한다. 책의 전반부에는 

소설의 설계도 만들기, 소설의 유형과 형식 등 원론적인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만, 핵심이 되는 부분은 '주요 모티브의 소설적 형상화'를 다루고 있는 5장이다. 우리가 소설을 통해 접할 수 있는 43가지의 주요한 모티브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 모티브를 다른 작가들은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했는지를 독자가 직접 읽어보면서 체득할 수 있도록 길잡이를 하고 있다. 각 모티브 별로 수록되어 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소설을 쓸 계획이 '아직까지는 없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알려주는 친절한 선생님의 유익한 강의 노트처럼 다가왔다.  


부분일식이 있었던 어제 하지를 지나 오늘도 더위가 한창이다. 

'문득 졸음이 다가왔다가 또 문득 달아나

긴 해에 발 내리고 책을 펼친다. 하주 <청연당> 

강의 노트에 수록된 한국 소설 작품들을 읽으며 이 여름과 또 다른 계절을 엮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