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 정부입니다 반갑다 사회야 22
박도 지음, 김소희 그림, 장세윤 감수 / 사계절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두의 독후감:
12월의 책을 보고 '에이~역사이야기 잖아~~좀 따분하다' 이렇게만 생각했지만 내 생각이 완전히 틀렸다.
지루할거라 예상했던 역사책이 너무 재밌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난 동화나 소설이 더 좋다. 역사책은 사실을 알려주는 책이지 <재미>를 느끼진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는 계속 읽어나갔다.
이 책은 한국전쟁,독립운동,임시정부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김구 선생님과 용감한 사람들의 활약을 볼 수 있었고, 전쟁시기에 태어난 조선 아이들은 얼마나 두려웠을지,겁났을지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독립을 위해서, 또 전쟁을 막기 위해서 희생한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또 감사했다. 그 분들이 아니었다면 내가 이렇게 평화롭게 하루하루를 보낼 수 없었을 것 같다. 또 일제는 정말 끔찍했다. 아무리 전쟁이라도 어떻게 사람들이 눈앞에서 자기때문에 죽는것을 보고 눈 하나 깜빡이지 않을 수 있을까? 죄 없는 사람들을 실험용으로 쓰기도 했다고 들은 적도 있다. 마음이 아팠다.
일본이 힘이 없고 선한 사람들을 괴롭히고 죽음으로까지 몰고간 상황이 너무 억울하고 속상하다.
앞으로 어떻게 일본을 이해해야 할까?

엄마의 감상문:
우리나라는 왜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게 된거야?
나는 일본 음식이랑 문화가 좋은데 어떤 어른들은 왜 일본을 싫어해?

조금 다른 차원의 질문이 시작되는 나이가 되었다. 역사와 사회 이야기를 해야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부모다.

빼앗긴 나라의 설움과 나라와 주권을 되찾기위한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 그 과정에서 중요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건설!

넘치거나 모자람 없이 역사적 사실을 전하되, 아이가 스스로 느껴보고 거슬러 올라가볼수 있게 하려면 어떤 이야기부터 해야 할까?
그러던 중 제목에서 출발점을 설정할수 있는 도움을 받는다.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

반갑다 사회야 시리즈의 책장을 살펴보니 나에서내가 속한 공동체로 시선을 돌리는 아이의 지금 시기에 읽어볼만한 주제들이 많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의 각도와 방향에 첫걸음이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