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사 입문 - 미메시스에서 시뮬라시옹까지
베르너 융 지음, 장희창 옮김 / 필로소픽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자로서 우연히 이 리뷰를 봅니다. 관심 고맙고요. 엉망! 이란 과격한 표현에 한마디 하지 않고 지나갈 수는 없군요. 말씀하신 걸 차분히 들여다봤습니다.

1. 우선 형상과 상의 문젠데요. 학계에서 관행적으로 모상으로 쓴다고는 건 알고 있어요. 독일어로 Abbild(모방, 베낌)가 모상의 뜻이고, Bild는 그냥 상입니다. 저자인 베르너 교수가 Abbild라고 하지 않고, Bild라고 한 걸 존중하여 그냥 상으로 옮긴 것입니다. 관행이라는 것도 문제가 있으면 다시 검토하는 것이 철학하는 이들의 기본태도겠지요.
2. 독일어 Sehen을 봄으로 번역해야 맞다고 하시는데, 저도 그 점을 고심하지 않은 건 아닙니다. 그런데 실제 문장에서 시각을 봄이라고 바꾸면 문장이 이상해진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봄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봄의 질이다...˝ 이상하지 않습니까. 번역어를 고를 때 문장의 앞뒤 맥락을 당연히 고려해야 합니다.
3. 말이 너무 딱딱하다는 부분인데요. 독일어에서 부문장이 너무 길 때는 앞에서 간략하게 이렇게 말했다, 라고 한 뒤에 기다란 내용을 전하는 것이 읽기에도 편하고 자연스럽습니다. 그렇지 않고. 카시러는 ----------------------, 라고 한다 라고 옮기면 그것이야말로 한국어답지 않지요. 저는 독일어를 가능한 한 우리말로 자연스럽게 녹여 번역하는 것을 소명으로 삼고 있는 사람인데, 이런 식의 섵부른 판단과 공개는 공부하고 배워나가는(누구나 죽을 때까지 배웁니다) 이의 바람직한 태도로 보이지는 않는군요. 그리고 엉망이라는 표현은 평생을 번역에 종사하고 있는 번역자에 대한 대단한 실례입니다. 남보다는 자신을 먼저 돌아보는 것, 그것이 철학의 기본 아니겠어요. 그럼 저는 이만 물러날 게요. 장희창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