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1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속으로 하강하여 세월의 가치를 다시 해석하다
저자에 대한 정보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읽으려니 가독성이 많이 떨어졌지만 여자로서 살아온 세월에 대한 저자의 철학은 상당히 매력있었다.
집단의 역사를 개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그 시대를 살아가는 개개인의 삶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특히 여성을 상대로 한 무언의 압박과 강요를 견뎌야만 했던 삶을 지나 누군가의 아내, 엄마라는 소유된 삶을 살지만, 결국 온전한 자신으로 살기 위해 선택을 하는 모습은 주체적이고 당당하다. 고민과 불안이 따르지만 가치가 있다.
결혼이란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결혼은 안정감을 갖는 동시에 누군가로부터 속박되는 것에 영원히 익숙해져야 한다는 숙제인것 같다. 동시에 개인적인 정체성을 잃어간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떠올리지 않는 연습도 해야 한다. 어쩌면 관계 속에서 맺는 공동체적 정체성을 자신이라고 정의하며 살아가는 것에 익숙해지고 결국 결혼을 함으로써 그 익숙함에 끝에 도달하는것이 아닐까.
시간 속으로 하강한다는 저자의 말이 인상 깊다. 시간과 관련된 문구들 중 나는 시간을 거스른다는 문구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시간을 거스른다는 것은 이미 그 뜻에서 시간이 인간보다 우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타임머신과 같은 개념도 시간을 정복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망에서 시작됐다. 욕망의 목적이 되는 대상은 욕망하는 대상보다 우선적이다.
인간은 왜 시간을 조종할 수 있기를 욕망하는가? 시간은 인간에게 세월을 만들게 하는 절대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선택을 하며 스스로 인생을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이미 닦아온 길을 뒤따르고 있는것에 불과하다. 시간은 언제나 우리를 앞서고 인도한다. 적어도 내가 이해한 시간이란 개념은 이렇다.
하지만 시간 속으로 하강한다는 것은 아예 시간과 세월의 관계를 뒤바꾸는 개념이다. 인간이 시간과 함께 세월을 만들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 역사를 보고, 역사를 만드는 집단의 생각을 관찰하고, 개개인의 역사를 되짚어보면서 내가 지나온 세월을 시간과 함께 그 순간 살아갈 수 있다.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으로 하강하여 그 순간의 감각을 다시 느낄 수 있다. 어느새 시간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닌, 나와 세월을 함께하는 동반자가 되어 있다. 인생이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된다. 내 조상과 부모가 내가 되며 내 아이들이 내가 된다.
시간 속으로 하강하여 지나온 세월의 순간을 다시 마주하는 것은 내 스스로 묶어놓은 시간의 한계를 벗어나 시간의 영속성을 체험하는 것이며 동시에 시간을 되돌리고 싶어하는 욕망을 가장 잘 해소하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