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멋진 곤충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 지음, 니나 마리 앤더슨 그림, 조은영 옮김, 최재천 감수 / 단추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곤충들이 딱히 큰 해악을 끼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늘 곤충을 밀어내고 하대하며 박멸해야할 대상으로 여깁니다. 살충제 스프레이 등은 대부분의 집에 구비되어 있고, ‘벌레 나오는 집 = 청결하지 못함’으로 인식되어 아파트에서는 주기적으로 소독약을 뿌려댑니다. 그래서일까요?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특정 집단이나 사람들을 혐오하거나 경멸감을 나타낼 때 벌레 충(蟲)을 붙이는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베충, 급식충에 이어 맘충이란 단어까지... 조롱과 멸시, 혐오의 대상 뒤에 곤충을 뜻하는 벌레 '충'자가 자연스레 따라 오게 된 것이죠. (벌레야, 미안해!!)

이렇게 대부분의 사람은 피하고 싶어 하는 ‘곤충’을 ‘친구’라 부르는 작가가 있습니다. "내 야망은 모두가 곤충을 사랑하게 만드는 것이다!"라는 노르웨이 출신의 보전생물학과 교수인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 그녀는 저처럼 '벌레=징그럽고 싫어!'를 외치는 독자들을 향해 곤충은 아주 쓸모가 많고, 동물과 식물에게도 꼭 필요하지만 사람에게도 몹시 소중하다는 말을 꺼내며 <이토록 멋진 곤충>을 세상에 내어놓았습니다.



이미 전작 <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로 어른들에게 곤충들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곤충의 세계를 소개한 작가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은 이번에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곤충책을 선보입니다. 모든 사람이 곤충을 사랑하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니나 마리 앤더슨 작가와의 협업을 했고 '이토록 아름다운 곤충 그림책'이 탄생한거죠.



<이토록 멋진 곤충>은 '세상에서 가장 작고 사랑스러운 친구들을 소개한다'는 글로 시작합니다. 곤충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곤충은 어떤 동물인가요?’부터 사는 곳에 따라 ‘물속에 사는 곤충’, ‘숲에 사는 곤충들’, ‘정원에 사는 곤충들’, ‘집에 사는 벌레들’로 분류해 놓았고, 희귀하고 진귀한 ‘세계의 곤충들’까지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초등 고학년 아들은 어릴 때부터 곤충을 좋아했고 집에도 세밀화로 표현된 곤충 관찰책이 몇 권이나 있었지만, 제가 제대로 읽어준 적은 손에 꼽아요. 그 이유는?? 너무나 적나라하고 크게 확대해서 표현한 일러스트레이션이 벌레를 무서워하는 제게는 혐오감이 들었기 때문인데요, <이토록 멋진 곤충>은 표지만 봐도 느낌이 딱 오실 거예요. 개인적으로는 곤충 지식책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 말하고 싶을 정도인데요, 일러스트를 맡은 니나 마리 앤더슨은 은은한 수채화로 곤충과 곤충들의 작지만 놀라운 세계를 표현해냅니다. ‘곤충이 이렇게 예뻐 보일 수 있구나!’ ‘그들의 세계도 아름답구나!’ 감탄하며 그림을 보고,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의 위트 넘치는 글을 읽다보면 곤충들의 세계에 더욱 빠져들게 될 거예요.


작가가 이 책을 통해서 하고 싶었던 말은 서점에 들른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게 뒷표지에 이렇게 적혀 있어요.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요.

곤충과 곰팡이는 저기 있는 나무와,

나무는 다시 인간과 동물들의 삶과 연결되고,

다시 지구와 연결되어 있지요.

곤충이 없으면 우리는 사라질지도 몰라요."


곤충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하고 곤충이 안녕한지 신경 써야한다고 말하는 작가의 글은 '하나의 지구'라고 외치며 자연을 사랑해야 한다고 말만 내뱉는 제 자신을 반성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고자 노력하는 곤충들의 삶을 알게 되었고, 곤충들을 너무 하찮게 여긴 것은 아닌가 라는 반성하게 만들었죠.

진짜 '대단한' 곤충들의 세상. 여러분도 느껴보고 싶으시다면, 이 책을 꼭 펼쳐보셨으면 합니다.


*이 글은 제이포럼과 단추 출판사의 서평 이벤트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요.
곤충과 곰팡이는 저기 있는 나무와,
나무는 다시 인간과 동물들의 삶과 연결되고,
다시 지구와 연결되어 있지요.
곤충이 없으면 우리는 사라질지도 몰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