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논어 - 지혜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인생 공부 슬기로운 동양고전
김세중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한문 시간에 배운 것중에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나는 문장이 있다. 한문시간은 새로운 글자인 한자를 배우는게 재밌기도 하고 외워야 하는게 너무 많아서 힘들기도 했는데 이 문장을 배울때는 재미 있었다. 아마도 배움의 즐거움을 느꼈던것 같다. "학이시습지~"로 시작하는 논어의 첫 문장으로 '배우면서도 때때로 익힌다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뜻을 지닌 글이다. 배움의 즐거움에 대해 한문선생님께서 한참을 열정적으로 설명하셨던 기억이 난다. 이 문장은 성인이 되어서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었는데, 내용 그자체로 좋은 느낌이 들었고 배우고 익힌다는 것에 깊이 생각하게 되어서 수첩에 따로 적어놓고 읽곤 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가 쓴 유교 경전으로 사서오경 중 하나이다. 동양의 오래된 유교경전이 현대에도 꾸준히 거론되고 읽히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을 강조한 공자의 사상은 그 자체로도 배울점이 많다. 그 중에서도 논어는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자세, 배움과 삶을 대하는 모습에 대한 깨달음을 주기 때문일것 같다. 과거 공자와 제자들의 대화를 통해서 우리는 현재를 배우게 된다. 그래서 지금도 '논어'를 읽게 되는 것 같다.


이 책 <처음 시작하는 논어>는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명언들을 엄선하여 그 명언이 생긴 배경과 이야기를 실고 있다. 읽는 이들의 입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또한 '지혜가 꼬리를 무는 역사 이야기'에서 공자 뿐만 아니라 역사 안에서 같은 주제를 다룬 이야기로 독자의 이해를 더하고 있다.


사람이 사는 모습이 비슷하다더니 책을 읽고 있자면 오래전 과거에 있었던 것과 현재 살아가는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은것 같다. 같은 동양 문화권 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권에서도 사람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상은 표현 방식에서의 차이만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사회 환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만, 우리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상의 기본 뼈대는 그대로 유지되기에 '논어'라는 옛날 경전이 지금도, 앞으로도 읽게 되는것 같다. 논어는 시간의 흐름과 상관없이 계속 회자되고 읽고 있기에 '고전'이라는 단어가 딱 어울린다.


논어가 아무리 좋아도 접하기 쉽고 읽고, 이해하기가 쉬워야 읽고 생각하며 깨닫게 될 것이다. 그런데 논어는 중국의 언어인 한문으로 쓰여 있기에 언어에서부터 진입장벽이 느껴진다. 우리나라가 한자어 문화권이라 하더라도 쓰지 않으면 모른다. 그래서 처음 논어를 읽고자 할 때는 <처음 시작하는 논어>처럼 익숙하고 잘 알려진 문장들을 뽑아 이해하기 쉽게 글로 풀어주는 책이 도움이 된다. 그러면에서 '처음 시작하는~'이란 제목이 딱 어울린다.


그야말로 초보이기에 짧은 내용들로 이뤄져 있어서 지겹지 않게 재미있게 읽었다. 글의 배경과 유래가 함께 있어서 그 문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처음 알게되는 내용들이 많아서 배우는 재미가 있었다. 마음에 다가오는 글들로 멈춰서 생각하기도 하면서 동양고전의 묵직하면서도 진지한 느낌을 경험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