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키는 것이 능력이다
다카기 고지 지음, 장은주 옮김 / 가나출판사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사회생활을 하는 초기에는 시키는 일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런저런 고민에 빠지지 않지만 점점 윗사람이 되어 입장이 바뀌게 되면 일을 시킬때에 서로 윈윈이 될수 있도록 현명하게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하게 된다. 때로는 일을 맡게 된 상대방이 제대로 일처리를 하지않아 스트레스를 받게 되기도 한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남에게 일을 시키지 못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스스로가 일을 시킨다는 자체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떠넘긴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키는 행위  자체를 미안해하고 눈치를 보게 될 수 밖에 없다고 한다.그러나 일을 시킨다는 것은 상대에게 '일을 맡긴다'는 의미로 곧 나 스스로 효율적인 일처리를 할 수 있고 상대방 역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한다.'


  서로가 성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키기의 기술'에는 '상대방이 짜증나지않도록 스마트하게 시키는 방법'과 '상대의 의욕도 일의 성과도 높여주는 대화법'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상대가 짜증나지 않도록 스마트하게 시키는 기술'편에서 두가지를 소개하자면 첫번째, 무작정 상대방에게 일을 떠넘길 것이 아니라 가벼운 대화를 통해 그사람의 심리적인 상태나 상황을 먼저 파악하라고 조언한다.그 사람의 상황에 따라 맡길 수 있는 정도를 가늠해서 맡기는 것이 성공확률이 높다는 얘기일 것이다.곧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할 수 있겠다.두번째,일을 맡게 된 사람이 할 사람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자신이 하게 되었다는 생각을 갖지 않고 자신이 꼭 적임자여서 일을 맡게 되었다는 생각이 들도록 시킬 수 있어야한다고 한다.


  '상대의 의욕도 일의 성과도 높여주는 대화법'편에서 두가지를 소개하자면 첫째,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다른 사람에게 쉽지않은 일들을 부탁할 때 미안한 마음을 지나치게 내비치게 되는 것은 상대방에게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당당하게 시키는 편이 서로에게 좋다고 한다.둘째, 상대의 불신을 불러일으키는 세 가지 포인트로는 첫째 표정,둘째 침착하지 않은 태도,셋째 애매한 말투로 상대에게 의심의 여지를 주지말고 자신의 능력을 인정하고 성장시키려고 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한다.


  이 책을 읽다보니 시키는 기술 자체의 기본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그대로가 아닌 조직생활에서 선호하는 모습 또는 세련되고 정제된 가면을 접한 느낌이여서 산뜻하지만은 않은 것 같다.한편으로는 지금까지 다른 사람들에게 시킨다는 것이 곧 그 사람을 이용하거나 일을 떠넘긴다는 부정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박이여서 때로는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도 많았던 것 같다. 곧 한 사물을 놓고 여러각도에서 바라 본 느낌의 신선함이라고 할 수 있다.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구체적인 사례들을 예로 들었다고 하지만 사례 자체가 별로 없었고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하기에는 너무 원론적인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