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데보라 잭 지음, 이수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내성적인 사람보다는 외향적인 사람이 낫다는 생각을 많이들 하고 있고 맞는 말인 것도 같다.그렇지만 외향적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 조차 알고보면 사회적 요구에 의해서 자신의 본 모습을 숨기고 외향적인 척하면서 살아간다. 나 역시 혼자 있는 것이 편하고 남한테 별로 관심도 없다.그렇지만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아닌 척하면서 살아가면서도 때론 고민스럽기도 하고 이런 모습이 싫을 때도 있다. 


  이 책의 저자는 먼저 자신의 성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내향적과 외향적인 특징을 잘 설명해 놓았고 내향적인 사람의 장점을 살려 외향적인 사람으로 승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내향성의 사람들이 여러상황에서 어떤 식으로 준비하고 대처해야하는지와 앞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활용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핵심체크로 짚어주고 여러상황에서의 질문들을 통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현장수첩이나 표 등을 활용해 활자들의 지루함을 덜어주기도 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이 보통 소극적이고 수동적일 수 밖에 없는데 2부 '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소통 매뉴얼'에서는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용기,성공적인 관계는 사전준비에 달렸다,소통하는 환경 만들기,낯선 사람과 동석할 때 등 기타 여러가지 상황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어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고 자기가 관심가는 곳 부터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 같고 소개한 내용들 역시 구체적이여서 한번 쯤 실천해 보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 같다.


  무엇보다 '황금률과 백금률'에 대한 내용이 좋았다.이 책에서 말하는 황금률이란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다른 사람을 대접하는 것'을 말하고 백금률이란 '상대방이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대접하라'인데 자신이 대접받고 싶은대로 대접한다는 말은 많이 들어 본 말이고 평소에 일리있는 말로 느껴저  대인관계에서 적용하고 있었다.그런데 이 책에서 백금률을 접하고 보니 황금률 자체가 타인을 배려한 것이 아닌 자기 중심적이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대방이 모두 나와 같은 성향이 아니고 각 개인이 다 다르기 때문에 그 기준점은 내가 아닌 타인이여야 한다는 백금률이 더 효과적이라는 저자의 말에 공감이 간다.


  많은 사람들은 각 자의 성향에 따라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사람을 형성하고 있는 모든 것이 성향으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물론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살아가야하는 우리는 되도록이면 외향적인 성향의 사람들을 선호하고 또한 되기를 희망한다.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성향을 억지로 바꾸려한다면 자신 스스로를 부정하고 외면함으로 스스로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것 같다.그리고 인간관계를 맺다보면  어느 성향만이 좋다고 단정지을 수 없을 때가 종종 있곤 한다.두 성향 모두 나름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직업에 따라 기타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성향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 먼저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나이가 들어가면서 또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하고 상처를 주고 받으면서 조금씩 진화되기도 하고 퇴화되기도 하면서 성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