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이 두려운 여자 마흔을 꿈꾸는 여자
홍나연 외 지음 / 미호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쇼 호스트,리포터,슈퍼모델,스타일리스트,방송작가 라는 생소하고 화려하기도 하지만 각자 다른 직업을 가진 다섯 저자의 공통점은 이들이 40대라는 것이다.여자 나이 '마흔'만감이 교차하는 것 같다. 얼굴에 책임을 져야하고 나름 '홀로서기'와 자아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따르는 '사추기' 처음 이 책의 저자들의 화려하고 똑 소리날 것 같은 직업들 때문에 '마흔'이라는 공통점 외에 '내가 과연 이들과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긴 할까?'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결혼,육아,일에 대한 고민들을 솔직 담백하게 꾸밈없이 풀어놓고 있어 친구들과 둘러앉아 수다를 떠는 느낌이랄까. 보통의 40대 나이의 여성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결혼으로 인해 포기할 수 밖에 없었던 것들과 또한 결혼으로 인해 얻을 수 있었던 것들, 현명한 결혼생활에 대한 이야기들,직장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을 양육해야하는 어려움들에 대한 이야기와 아이들과 잘 지낼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이야기,각자 다른 일들을 하면서 자신의 일에 대한 이야기 또는 자기 분야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얼마나 처절하게 노력해야만 하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하고 있어 겉으로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과 여성이라는 벗어날 수 없는 굴레가 느껴졌다.우아한 백조의 끊임없는 몸부림이랄까.


  이들 대부분 결혼을 하고 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었다가 다시 일을 시작하게 된 사람들이다.'마흔'이라는 나이는 애매모호한 나이일 뿐 아니라 무언가 다시 시작하기에는 쉽지 않은 나이인 것 같다.사회에 나가기에는 경쟁력도 없고 스스로도 의기소침 할 뿐아니라  사회적인 현실 또한 마흔이 다가가기에는 호락호락하지 않음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서 나와 다른 점이 있다면 끊임없이 자신의 발전이나 꿈을 위해서 작은 행동들을 꾸준히 실천해 나가고 있었다는 점들이다.막연히 꿈만 꾸는 것이 아니라 그 꿈에 다가가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들을 단계적으로 행하고 있었기에 그들에게 기회가 주어졌고 그 꿈들을 이룰 수 있었던 것 같다.무엇을 하기에는 너무 늦은 나이라는 자괴감에 빠진 내게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것을 이루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말 그대로 꿈에 불과할지라도 꿈을 꾸는 자체만으로 행복하고 이루기 위한 순간의 몸부림들이 내게 활력이 되고 또 다른 꿈을 꿀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해 주었다.


  '마흔'이라는 나이는 어쩌면 두려움이 없어지는 나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늘어난 주름의 수만큼, 나도 모르는 사이 삐쭉이 고개 내밀고 있는 흰머리의 미운 모습만큼 삶의 내공이 쌓여있기 때문이다.다만 자신 스스로가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를 가두기 때문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마흔'이라는 나이를 방패 삼아 자신에 대해 무책임하지 않고, 많은 시행착오들을 겪으면서 자신을 사랑할 줄 알고, 넘어지면서도 앞으로 꿋꿋히 나아가는 이들의 삶을 보면서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라는 말을 실감한다.


  특히 저자들의 Tip&Talk 부분은 각자 다른 직업으로 인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그들만의 특별한 조언들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낮설고 한편으론 동경에 대상일 수 있는 직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들이 재미을 더해주는 것 같다.늦게나마 자신의 꿈을 찾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많은 고통과 눈물들을 뿌린 후에 지금은 달콤한 열매를 맛보고 있는 저자들이 얄밉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