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님전 시공 청소년 문학 50
박상률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개님전'의 주인공 황구 가족은 말 그대로 사람보다 나은 개들이다. 어떤 일에나 정도를 거스리지 않는 모습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충실하고자 하는 모습 역시 그 삶이 자신에게 불리하든 유리하든 자기가 좋아하든 싫어하든 주어진 삶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모습들에서 내가 살아가면서 나 스스로에게 보여지는 외면하고 싶은 불편한 진실들을 언뜻 언뜻 비춤으로 부끄러움을 느꼈다.

 

  저자는 말 그대로 명견인 '진돗개'가 아니라 진도에 살고 있는 진도개들의 삶 속에 진도 사람들의 삶을 녹여냄으로써 그들의 삶의 단면들을 엿 볼 수 있었다. 특유의 지방색을 살리고 대화체 역시 사투리로 표현했기 때문에 책을 읽는다는 느낌보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느낌으로 재미있고 실감나게 읽을 수 있었다.

 

  주인공인 개의 눈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기 때문에 우스운 얘기이긴 하지만 우리가 교훈적인 얘기를 들을때의 식상함이나 거부감이 들지않고 그저 자연스럽게 한번쯤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을 판단할때 사람 자체보다는 학연,혈연,지연 등 배경에 더 관심을 가지는 우리의 부끄러운 모습과 황구가 개로 잘 살기 위해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각하는 부분에서는 '우리가 사람으로 잘 살기 위해선 어떠해야 할까?'를 생각해 보았다.인간이긴 하지만 인간으로 살아가기에는 녹록하지 않은  현실인 것 같다.

 

  보통의 개 이야기와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너무 큰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판소리문체, 전라도 사투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이나 메시지들은 별다른 점이 없었던 것 같다.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한 이 책에서 사투리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독자인 청소년들이 사투리를 소화할 수 있을까라는 노파심이 들었다.

 

  그리고 진돗개 이야기에 언제나 등장하는 주인의 목숨을 살리는 개의 활약은 약간 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약간은 실망스러운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구가족과 황씨할아버지의 가족들이 단순한 주인과 가축이 아닌 서로를 가족으로 인정하고 위하는 모습에서 가슴이 따뜻해 옴을 느꼈다.가족끼리 조차 서로 외면하고 소외되는 현실을 비추어 볼 때면 더욱 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