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치아픈 인간 길들이기 - 일터를 전쟁터로 만드는
짐 워너 & 케일리 클렘프 지음, 권오열 옮김 / 좋은책만들기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살면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인간관계,그 중에서도 직장에서의 대인관계인 것 같다. 상사와 동료,부하의 역할을 동시에 해야하고 역할에 따라 대처방법도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일터에서 만나볼 수 있는 골치아픈 인간들의 유형을 불평꾼,냉소가,통제관,돌보미로 분류하고 있다.

 

  책을 읽어가는 동안 네 가지의 유형들의 특징들을 보면서 머릿속에 어떤 얼굴들이 떠올라 실소를 금치 못했다. 그러고 보면 막연히 우리가 직장에서 '도대체 저 인간은 왜 저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해할 수 없었던 사람들이  어떤 생각으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또 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인지, 그런 사람들을 대하는 효율적인 대처 방법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내가 일하는 직장에서 직속상사는 이 네가지 유형 중 돌보미에 속하는 사람인 것 같다. 모든 사람과 다 잘 지내기를 원하기 때문에 싫은 소리를 하지 않고 약간은 우유부단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론  자신의 그런 성향을 굉장한 장점으로 알고 있고 모든 사람이 좋아하고 있을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그녀가 외면하고 싶은 진실은 모든 사람이 자신과 다 잘 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한겹 벗기고 들어가면 확실하게 업무 구분을 안 해주거나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때 늘 시기를 미루고 단호한 결정을 내려주지 않아 부하 직원들끼리 서로 일을 미루는 상황을 만들어 버리고 말아 모든 일이 흐지부지 된다는 점이다.

 

  이런 그녀에게 늘 불만이 많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막막했다. 때론 그 우유부단함에 비난의 눈길을 거두지 않았지만 이젠  그 사람의 돌보미 성향을 최대한 인정하고 지지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리고 그녀가 때로 어려운 결정이나 한계를 정해줄 때 그것을 당연시 하기보다는 감사하거나 칭찬하는 표현을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나에 대해서 생각해보니 난 최고가 되기위해 늘 신경이 곤두 서있는 통제관 타입인 것 같다. 언제 어디서나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를 원하고 모든 일에 있어 내 방식이 가장 합리적이고 옳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의 지적을 잘 못 받아들이는 편이다. 대신 일을 잘 한다는 소리는 늘 듣는 편이다.그리고 확실하게 일을 잘 하는 부하를 굉장히 편애하고 잘 챙겨 준다. 이런 단점을 가지 내가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좀 더 열린 마음과 이성적인 판단으로 수용하고 일의 효율성이나 성취도 보다는 좀더 인간관계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같다.

 

  가족보다 더 많은 시간을 공유하는 직장상사,부하,동료들과의 관계가 좋아야 하루하루가 행복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일을 효율적으로 잘 할 수 있는 것 같다. 또한 누군가 어떤 요구를 했을 때 그 일보다는 누구냐에 따라 우리의 행동이 달라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모든 사람을 다 자신한테 맞출수 없고 내 자신이 모든 사람과 조화로울 수는 없다. 그러나 성향과 환경이 다른 많은 사람들과 직장생활을 해야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면 좀 더 행복하고 즐거운 직장을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상사,동료,부하들의 표면적인 행동만을 비판할 것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심리로  행동을 하는지를 안다면 그를 좀 더 이해할 수 있고 유형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함으로써 적이 아닌 동지로 나아갈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저자의 네가지 유형으로 모든 사람이 분류되고 저자의 조언처럼 간단명료하게 해결되지는 않겠지만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사람이 있어 공감하게 되고 때론 내 자신을 대입해 보면서 반성할 수 있는 계기를 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