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레이션 : 실전편 - 만족스런 큐레이션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북
스티븐 로젠바움 지음, 엄성수 옮김, 임헌수 감수 / 이코노믹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 시대.

지난 10년은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의 세계였죠.

코로나로 인해 그 세계는 더 크게 확장되었고요.

1인 1 이상의 소셜 계정을 운영하는

1인 방송국 시대가 되면서

진정한 정보 과잉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생존을 위해서

이 정보를 적절하고 균형 있게

선별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 외 누구에게나

정보의 선별력은 필요한 역량이 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직접 선별한 정보를 단순히 참고용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로 만들며

영향력을 끼치는 큐레이터 인플루언서들도

어마어마하게 늘고 있습니다.


큐레이션 실전편에서는 이렇게

인플루언서블한 큐레이터가 되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론을 얘기합니다.


실제 콘텐츠를 확인해보면 아예 새로운 것보다는

어딘가에서 영감을 받아 기존의 것에서

재탄생된 콘텐츠들이 많은데요.

큐레이션 실전편에서는 작가의 관점에서

그 의미에 대해 재 정의하고 있고요.

큐레이션에 필요한 실질적 스킬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혹시 다양한 소셜 미디어 매체를 이용해

콘텐츠 제작을 하고 있나요?

그렇다면 이미 당신은 큐레이션을

하고 있는 중이네요.


과연 인플루언서블한 큐레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큐레이션 실전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창작에 대한 열정이 있는지 생각해 보아요.


큐레이터라면 반드시 필요한 자질이

바로 창작에 대한 열정이라고 합니다.

서로 전혀 달라 관련성이 없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연결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일이 바로 큐레이션입니다.

이 과정에서 창작에 대한 열정과

나만의 창의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당신은 리더인가?


자신 있게 나의 의견을 내어 따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용감하고 카리스마가 있어야 하며

동시에 실수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 용기는 실수에 대처하는 태도를

의미한다고 생각되요.


실수 자체보다는 실수에 대응하는 자세가

더 중요하다고 하는거 같습니다.

결국 리더에게는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상관없이

과감하고 용기 있는 실행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열심히 탐구하는가?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우리가 취해야 하는 행동은 그 분야를

집중 탐구하는 일일 겁니다.

콘텐츠 큐레이터 역시 사람들이 모르는 정보를

온라인 세계 구석구석 탐험하여

알아내고 선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조직가인가?


단순한 정보 수집가가 될것인가?

크리에이터가 될것인가?

이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이 책에서는 단순한 수집가가 아닌

크리에이터의 성격을 띠는 큐레이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의미는 온라인 세계의 과잉 정보를 선별하고

나만의 관점과 생각으로 틀을 만들어

그에 맞게 일관되게 정리하는 것입니다.

블로그의 글도 나만의 생각과 관점이

들어간 글이 좋은 글로 판단되는데요.

그 이유도 여기에 있는 거 같습니다.


당신의 목소리가 있는가?


위의 내용과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어떠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할 때

기준이란 게 필요할 텐데요.


그 기준은 바로 나의 생각과 관점이 될 거고요.

그게 바로 나의 목소리를 의미하게 됩니다.

만약, 나만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오랫동안 큐레이터라는 일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거라고 하네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 후기를 남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