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다 읽고 나서 서평을 쓰기전에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어떻게 읽었을까 궁금해서 다른 사람들이 쓴 서평을 읽어봤다. 과연 같은 책을 읽은 것이 맞나 싶게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고 아주 깊이 있게 서평을 써놓았더라. 역시 책은 그냥 읽는 다고 다 제대로 읽는게 아니고 글은 쓴다고 다 제대로 쓰는게 아니구나 싶었다.
<라이팅 클럽>은 글을 쓰고 싶어 하는 여자 아이의 성장기를 그리고 있다.
제대로 된 책을 낸 적이 없지만 김작가라 불리는 주인공의 엄마는 동네에서 조그맣게 글짓기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주인공이 보기에 글짓기 교실에서 사람들이 쓰는 글들은 다 쓰레기 같고 회원들에게 하는 김작가의 말들은 모두 허풍같기만 하다. 늘 글쓰는 사람들 틈에 있는 주인공이 글을 쓰고 많은 책을 읽는 것은 당연한 결과 인듯 하다. 처음에 주인공은 동성의 친구에게 애절한 연애편지를 쓰는 것으로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점점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망이 생긴다. 그래서 같은 동네에 사는 유명작가에게 찾아가 자신의 글을 보여준다. 결과는 뻔하다. 원고지는 온통 빨간줄 투성이이다. 제대로된 글이란 어떤것 일까?
주인공은 잘살지도 공부를 잘하지도 심지어 예쁘지도 않다. 인생이 쉽지만은 않다. 그 쉽지 않은 인생의 탈출구는 책 읽기와 글쓰기다. 얼마전 티비에 나온 작가는 아버지 사업이 망해서 옥탑방에 살면서 수억원의 빚을 갚아가면서도 글을 썼다고 했다. 수천권의 책을 읽고 수백권의 책을 필사하고 유명작가들의 사진에 자기 얼굴을 붙여놓고 언젠가는 자신도 그렇게 될수 있다는 꿈을 버리지 않았단다. 과연 글쓰기에 어떤 매력이 있는 걸까? 소설의 주인공은 글을 쓰면 인생이 깊어진다고 했다. 인생이 깊어지는건 뭘까? 이 책을 읽고 나면 글쓰기에 대해 뭔가를 알수 있을 줄 알았는데 의문만 더 생긴것 같다. 누군가가 글은 배워서 잘 쓰는건 한계가 있다고 글은 타고 나는거라고 말한 적이 있다. 주인공처럼 쓰지 않으면 못 살것 같은 감정이 속에서 끓어 오를때 쓰는게 글인가 보다.
이 소설에는 <노동일기>, <강철군화>, <돈 키호테> 의 일부분이 나온다. 그런데 주인공이 재미있다거나 가슴에 와닿는다는 부분들이 전혀 나에게는 와닿지 않았다. 아.. 역시 나는 문학을 모르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