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루
주원규 지음 / 문학의문학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 문제와 재개발 문제를 정면에서 비판한 소설이란 자극적인 문구를 보고 이 책에 끌렸다. 
평소 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이 그리 크지 않아서 인지 종교와 재개발이 어떤식으로 엮여 있을지 상상을 할 수가 없었다.  

안수를 앞두고 있는 세명교회의 전도사 이다. 지금 세명교회는 교인이 2만명이 넘는 거대 교회이다. 이런 거대 교회의 담임 목사는 처음 세명교회를 일군 조창석의 아들 조정인이다. 조정인은 일찍 미국으로 유학을 갔고 미국 금융권에서 일하다 실패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명교회의 목사가 되었다. 조정인은 제대로 된 신학 교육을 받지 않은 터라 그의 목사로서의 자질은 형편이 없다. 그래서 그의 설교문도 민우가 몰래 써주고 있다. 민우는  나약한 인간이라 이런 부조리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도 취할 수가 없다. 
세명교회 앞에 미래시장은 재개발을 앞두고 있다. 재개발 사업에 가장 큰 사업자는 세명교회이다, 그래서 시장에 남아있는 사람들을 철거시켜야 했다. 시장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갈곳이 없는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속에 민우와 같이 신학대학에 다니던 윤서가 있다. 민우는 교회를 대신해 윤서와 부딪힐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에서 윤서로 부터 재림 예수가 시장에 나타났다는 말을 듣게된다.

교회가 이런식으로 몸집을 불릴 수도 있구나 싶었다. 그리고  허름하고 낡았던 지역이 멋진 빌딩들이 줄지어 있는 깨끗한 거리로 탈바꿈 할 때 한쪽에서는 살 곳을 잃고 거리로 나 앉는 사람들의 눈물이 있구나 싶었다.  현실적인 보상을 요구하는 노약자들고 구성된 시위단에 용역 회사의 쇠파이프가 날아들어도 꿈쩍도 않는 경찰의 태도에 어이가 없었다. 이런 현실을 소설은 소설일 뿐이라고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거대 교회의 물질적 욕망, 철거민들의 안타까운 상황, 재림 예수등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많았던 것 같다. 그 하고 싶은 말을 소설속의 '이 땅에 나타난 재림 예수'란 게시물에 담아낸것 같은데 그 뜻을 다 이해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종교적인 감성을 띈 문장은 한번 읽어서는 선뜻 와닿지가 않았다.  그래서인지 다 읽고 나서도 뭔가 끝이 덜 난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어쩌면 주인공 민우도 작가처럼 생겼고 세명교회를 벗어나 작가처럼 대안교회를 운영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