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 시대 가장 탁월한 문장가로" 꼽히는 이윤기 작가.

소설가로, 번역가로, 신화 전문가로 살아낸 그의 시간은...

많은 번역서와 장편소설들, 그리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시리즈와 소설집 등 수많은 글로 변환이 되었다.

그의 딸 이다희는 탁월한 문장가의 딸답게 역시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고,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있다고 한다.

2010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추억하며, 아버지의 산문 중에서 글쓰기에 관한 글을 골랐다고 한다.

 

"여러 곳에 산재해 있던 아버지의 산문 중에서 번역과 글쓰기에 관련된 글들만을 한 곳에 모음으로 해서 이윤기식 글쓰기에 대해 상당히 유용한 참고 문헌이 마련됐다." -10p '서문' 중에서

 

 

이윤기 작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이 품었던 언어의 씨앗을 뿌리고, 그 열매를 거두어,

맛나는 문장을 담은 책을 잔뜩 선물하고 갔다.

그의 딸은 아버지의 글을 찾아 읽으면서 이런 결론에 도달했다고 이야기한다.

 

"나는 작가이며 번역가 이윤기가 언어라는 약속 체계에 들어갈 것인지, 거기서 나올 것인지, 문지방을 닫고 설 것인지 오로지 제 마음대로 결정하는 모습을 보았다. 길을 따르지만 길에 갇히지 않는 말, 정교하고 섬세하면서도 살아 펄떡이는 말에 대한 집착을 읽었다. 말에 대한 그와 같은 태도는 문학과 번역, 나아가 삶과 세상에 대한 이윤기의 철학으로까지 이어진다. 이 산문집에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라는 제목이 붙은 것이 우연일 리 없다. 이윤기의 글은 땀과 자유로 범벅이 되어 있다." -9p '서문' 중에서

 

 

"땀과 자유로 범벅이 되어있다"는 말에서 이윤기 작가의 글쓰기가 어떠했는지 짐작이 간다.

땀은 노력과 연습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 훈련을 말하는 것이겠고,

자유는 자신만의 상상력으로 새롭게 창조해낸 글쓰기를 말하는 것이리라.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글쓰기를 해왔다는 것도 대단하고, '이윤기체'로 불릴 만한 특별한 문장들을 써냈다는 것도 대단하다.

그의 땀과 철학이 녹아있는 집필 노트를 열어보고 나니, 더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과 함께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

원칙과 기본기가 없는 글을 쓰고 있는 나를 돌아보니 더 그렇다.

 

잘 쓴 글을 베껴써보고, 따라서 써 보는 것이 최선의 글쓰기 연습이라고 한다.

이윤기 작가의 글은 따라 써보고 싶은 글이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을 때도, 번역서인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으면서도 그랬다.

그의 많은 저작들 중에서 고작 몇 권 밖에 읽어보질 못했지만,

올봄에 읽었던 <그리스인 조르바> 의 "펄떡이던" 문장들과 강렬했던 이미지의 잔상이 떠오른다.

"땀과 자유로 범벅이 되게 써라"를 되새기면서...

자유로운 글쓰기에는 어차피 자신이 없으니, 땀이라도 많이 흘려야 할 텐데...

 

 

<남기는 글>

'자전적인 소설'이라는 말은 늘 나를 당황하게 만들고는 합니다. 이 세상의 사물은 어차피 개인의 경험이라는 문맥 안에서 읽히기 마련이므로 소설이라고 하는 것은 어차피 모두 자전의 운명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는 못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우리의 인식, 우리가 쓰는 언어도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76p

 

나는 문화의 힘 가운데 상당 부분은 번역에서 나온다고 믿기까지 하는 사람이다. 나는 소설가이지만, 소설 쓰는 행위조차도 문자 문화를 향한 현상의 '번역 행위'로 여기기까지 한다.

번역되지 않으면 문화는 확산되지 못한다. <신약성서>는 헬라어(고전 그리스어)로 쓰인 책이고 불경의 대부분은 팔리어나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책이다. 헬라어, 팔리어는 목숨 끊어진 지 오래되었지만 우리나라 기독교 신자들은 거의 매주일 우리말로 번역된 '주기도문'을 외우고 불교도들은 불경을 봉송한다. 번역의 힘이다. -105~106p

 

사람들은 왜 어려운 말을 즐겨 쓰는가? 자기네들끼리만 아는 말을 씀으로써 바깥에서 들어온 사람들을 난처하게 하는가? 말이 곧 권력이기 때문이 아닐는지. 포기하기 싫은, 달콤한 권력에의 유혹이기 때문이 아닐는지.

<중간 생략>

글 부리고 말 부릴 때마다 가슴에 손을 얹고 나는 묻는다.

소통을 원하는가, 과시를 원하는가? -276~27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