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A: 나 요즘 병원다녀

B:무슨 병원? 몸이 어디 안좋아?

A:우울증 때문에 정신과 상담 받고 있어

B: ()

 

 

 

이러한 상황에서 내가 지금껏 많이 봐왔던 대답은 이러한 것들이었다. 정신과?... 그거 정신이상한 사람들이 가는 거 아냐?, 우울증 의지 문제야. ,네가 한가하니 그러지 바쁘면 그런 게 왜 걸려 등 정신과는 소위 미친 사람들이 가는 곳, 정신 질환은 개인의 의지 부족과 성격 문제로 치부해버리는 대답들이었다

 

이 책은 우리가 그렇게 편견으로 바라보는 정신건강 문제가 특별한 누군가가 아니라 나를 포함한 누구 나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줌과 함께 우울증, 조울증, 강박증, 자해 등등 여러 질병을 소개-사례-대처 방법, 해결법 등으로 명료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대충 어린 짐작하며 알고 있던 질병들을 정확하게 알게 되기도 하고 누군가 갑자기 공황장애가 온다면 어찌 대처해야 되는지에 (왜 그래 어디가 아파?라면서 소리 지르고 함께 놀랄 것이 아니라 괜찮아라며 심호흡을 함께해주고 주변의 소음도 차단하면 좋다는 것) 대해 알 수 있어 좋았다. 테스트나 사례들을 보면서는 나는 어떤지 곰곰이 생각도 해보고 그래도 나는저 정도는 아니구나 싶기도 하고 안심하기도 했다.

 

하루 종일 몸이 무너질 것 같은 피로감을 느끼는 선영 씨 이야기를 보면서는 증상이 비슷했던주변 지인이 떠오르기도 했다.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봐도 이상은 없고, 비타민이나 종합영양제를 사줘도 매일 아프다, 힘들다는 말만 해서 어찌 대처할지 몰라 답답했었다. 근데 자신은 정말 아픈데 병원에 가도 이상이 없다 하고 알아주는 사람이 없었으니 누구보다 그 사람이 제일 힘들고 답답했겠다는 생각도 들어서 너무 마음이 무겁고 미안함이 컸다. 그래서 이책은 나 자신을 이해하고 돌아보는데 국한되기보다 가족이나 연인 등 주변 사람들을 앞으로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결론은! 감기가 걸리면 언젠가 낫고 열이 나면 언젠가 식듯이

 

우울증도 깜깜한 끝이 없는 동굴이 아닌 터널로 생각했으면 좋겠다.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건 한편으로는 행복도 느낄 가능성과 능력이 있다는 걸 의미하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