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시선 - 우리 산문 다시 읽고 새로 쓰다
송혁기 지음 / 와이즈베리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산문'을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나온다. [산문 : 율격과 같은 외형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문장으로 쓴 글로 소설이나 수필 따위] 어느 글이든 쓴 사람의 감정이 담겨있기 마련이지만 산문, 그중에서 특히 수필의 경우는 글을 쓰는 당시의 시간과 공간의 체취가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고전의 시선>은 읽을수록 옛 글이 가진 깊이를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처음에는 학창 시절에 배운 한자와 고전에 대한 선입견으로 책 읽기가 쉽지 않겠다고 생각했었지만 한 문장, 한 구절 그리고 한 명씩의 글을 읽어 나갈수록 점점 <고전의 시선> 속으로 빠져들었다. 고전 산문이 한 편의 수묵화처럼 펼쳐졌다.

 

<고전의 시선>의 몇몇 글은 낯설 수도 있다. 일반적인 수필 외에 상소문, 편지글, 송별사, 묘지명 등 다양한 글이 담겨있는데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우리 산문 다시 읽고 새로 쓰다'라는 부제처럼 <고전의 시선>에서는 먼저 읽기 쉽게 새 글로 써 놓았다. 그리고 새 글의 옛 글을 읽는다. 같은 내용이지만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새 글과 옛 글, 두 편의 글을 읽는 즐거움이 있었다. 마지막에는 해설과 원문을 첨부하였다. 저자가 안내하는 길을 차근히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처음에는 새 글이 읽기가 편했지만 뒤로 갈수록 옛 글을 더 집중해서 읽게 되었다.

 

<고전의 시선>은 총 24편의 옛 글을 소개한다. 1장 새로운 시야, 2장 성찰과 배움, 3장 삶, 사람, 사랑, 4장 세상을 향해 라는 주제로 옛 글을 읽고 쓴다는 것 외에도 각각의 주제에 대해 옛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 글 한편을 읽고 나면 한 걸음만큼 생각의 깊이가 더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24편 중 어느 글 하나 허투루 읽을 수 없지만 그중에서 박지원이 친구 홍대용을 위해 쓴 묘비명, 늙어감에 대하여, 슬픔을 견디는 방식에 대한 글이 인상 깊었다. 특히 죽은 아내를 생각하며 쓴 심노숭의 글은 담담한 글 사이사이에서 느껴지는 슬픔이 너무 깊어 가슴이 아팠다.

 

<고전의 시선>은 고전 산문을 읽고 필사하는 책이다. 옛 글을 읽은 후에 필사를 통해 다시 음미할 수 있도록 <고전의 시선>에는 필사 노트가 있다. 필사 노트에는 짧은 한자 문장과 해석이 있고 따라 쓸 수 있는 페이지가 따라온다. 한자 필사를 해 보고 싶다면 필사 노트를 이용하면 좋을 것이다. 나는 한자 문장보다 <고전의 시선>의 옛 글이 좋아서 옛 글을 따라 적었다. 비슷한 듯 낯선 문체를 따라 적는 색다른 느낌의 필사였다.

 

처음부터 읽어도 좋고 읽고 싶은 글을 먼저 읽어도 좋다. 하지만 순식간에, 빠르게 읽지 않길 바란다. <고전의 시선>은 짧지만 그 속의 옛 글은 마음을 울리고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다. 하루에 하나씩 명상을 하듯 고전 산문을 읽고 썼다. <고전의 시선>은 옛 글을 읽고 쓰는 두 가지 즐거움을 주는 책이다. 긴 겨울에서 봄으로 바뀌는 요즘, 이런저런 이유로 몸과 마음이 피곤한 사람들이 많다. 봄바람처럼 들썩이는 감정을 차분히 가라앉히기에 안성맞춤인 잔잔한 고전 산문을 읽고 쓰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일상이 주는 깨달음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