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이야기가 된다 - 시간이 만드는 기적, 그곳의 당신이라는 이야기
강세형 지음 / 김영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를 몇 번이고 읊조렸다. 카카오톡 상태 메시지에 적어두고 싶었다. 저자인 강세형 작가는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 이전에 3권의 책을 출간했다. 제목은 들어봤지만 읽어보지는 못했다. <나는 다만, 조금 느릴 뿐이다>와 <나는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라는 제목을 보니 왠지 현재의 내 상황을 너무 적나라하게 표현하는 글 일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좋아하는 사람도 많고 꽤 인기 있는 작가인 것 같았지만 책을 펼지지는 않았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를 읽고 나니 그녀의 전작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심한 듯 섬세한 그녀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와 많은 부분에서 교집합을 이루고 있었다. 다른 책도 좋을까? 다른 책을 읽을 때도 이런 느낌이 들까? 책을 읽는 내내 얼른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를 마치고 그녀의 다른 이야기들을 들어보고 싶었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는 강세형 작가가 읽은 책과 영화를 읽고, 보며 느꼈던 생각들을 적어놓은 일상 에세이이다. 나이는 알지 못하지만 왠지 나와 비슷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을 것 같았다. 혼자만 생각했고 부끄러워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감정들을 작가는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에서 솔직하게 들려준다. 그래, 그래, 맞아, 맞아를 말하며 고개를 끄덕였다. 곳곳에서 피식거림이 새어 나왔다. 읽기에 편할 뿐만 아니라 좋은 책과 영화를 많이 소개받을 수 있어서 마음에 들었다. 이미 읽어본 책과 영화는 다시 한 번 더 보고 싶었고 아직 보지 못한 것들은 찾아서 읽어보기 위해 메모해 놓았다.


재미있다고는 들었지만 찾아 보지 않았던 '인사이드 아웃'을 작년 비행기 안에서 처음 봤다. 볼만한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봤던 그 영화에 나는 홀딱 빠지고 말았다. 지루했던 비행기 안이라는 사실도 잊은 채 영화 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몰랐다. 돌아오는 비행기에서도 계속 '인사이드 아웃'만 반복해서 봤다. 이토록 굉장한 만화영화라니. '인사이드 아웃'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완벽하게 어른이들을 위한 영화라고 생각했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의 시작은 '인사이드 아웃'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당신의 엉뚱섬은 안녕하냐고 묻는 저자의 질문이 오래도록 머릿속을 맴돌았다. 나의 엉뚱섬을 떠올리며 다시 '인사이드 아웃'을 봐야겠다.

선을 본다. 어떤 사람을 만날 수 있느냐에 대한 기대보다 선 그 자체가 스트레스이다. 이런 선에 대해 그녀는 말한다. '그냥 단편 소설 한 편 읽는다고 생각해.' 맞다.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우리는 새로운 이야기 하나를 읽어보는 것과 같다. 빨리 끝내고 싶다는 생각보다 상대방은 어떤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지 호기심을 가져 본다면 스트레스는 또 다른 즐거움으로 바뀌지 않을까.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에서 질문한다. 영화 '보이후드'의 메이슨처럼, 그저 누구나 겪을 법한 시시콜콜한 얘기들로만 가득 찬 삶이 세상에는 더 많다. 하지만 그 페이지엔 정말 아무 일도 없었을까? 그들은 정말 어떤 이야기도 남기지 않았을까?


많은 책과 영화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에서 나는 '인사이드 아웃'을 비롯해 '이웃집 토토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좋았다. 지브리의 영화 중 현재 가장 좋아하는 것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지만 그전에는 무조건 '이웃집 토토로'였다. 책에서는 토토로에 대해 전혀 다르게 바라보고 있다. 같은 영화라도 다른 시각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쉿! 비밀입니다'의 첫 구절은 '나는 사실, 하루키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이다. 나 역시도 하루키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의 책을 다 읽었고 하루키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기가 짐짓 꺼려지는 사람이다. 그녀의 이야기를 읽으니 마치 나 같아서 웃음이 났다. 추천받은 책을 읽으며 하루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보며 나도 그 책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출간할 때부터 온라인 서점 장바구니에 담아 놓았지만 아직까지 구입하지 않은 하루키의 책을 읽어봐야겠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에서 들려주는 책과 영화를 처음 또는 다시 읽어보고 싶었다. 빨리 읽고 싶은 몇 권을 도서관에서 빌려왔다. 이미 봤던 책을 책장에서 찾아놓고, 영화 몇 편을 다시 봤다. 물론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를 읽었다고 그녀의 생각과 나의 감상이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전에 보지 못하고 놓쳤던 많은 부분을 강세형 작가 덕분에 찾을 수 있었다.

그녀는 나와 같은 책을 읽고 영화를 봤지만 전혀 다른 의미의 숨결을 불어넣어 생동감을 보여준다. 책과 영화에 예쁘다, 예쁘다를 말하며 부드럽게 쓰다듬는 것 같았다. <시간은 이야기가 된다>를 읽으며 일상에 의미를 더하는 그녀의 글에 반했다. 다른 일상에는 어떤 의미를 부여했는지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졌다. 그녀의 앞선 책과 다음 책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