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오래된 말들의 위로 - 흔들릴 수는 있어도 쓰러지지 않는 인생을 위해
유선경 지음 / 샘터사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람들마다 책을 읽는 계기가 있다. 미혼일 때는 소설책 한 권 읽지 않았는데 육아를 시작하면서 엄청나게 책을 읽는 사람들도 있고 우연히 읽게 된 책 한 권에 흥미를 느껴 다독가가 되는 사람도 있다. 리뷰를 쓸 때 가끔 말한 적이 있는데 나는 책을 통해 위로를 받은 후부터 더 열심히 책을 읽기 시작했다. 원래 책을 읽고 모으는 게 취미이긴 했지만 책이 주는 토닥임을 느낀 후부터는 더 지독하게 책을 읽기 시작했다. 기쁠 때는 기쁨이 배가 되고 힘들 때는 책이 나의 힘듦을 거둬갔다. 잘난 척 거들먹거리며 어쭙잖은 조언 따위도 하지 않고 묵묵히 내 말을 들어주는 책은 어떤 누구보다 멋진 친구였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결코 느껴보지 못할 이 포만감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이런 글을 적을 때면 항상 고민된다. 누구에게도 위로받을 필요 없이 사는 게 가장 행복하겠지만 생을 살면서 힘든 적 한번 없다면 그것 또한 제대로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사람의 마음을 위로하는 많은 책이 있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조목 조목 알려주기도 하고 네가 힘든 건 당연한 것이라며 무한의 응원을 보내는 책도 있다. <아주 오래된 말들의 위로>는 수많은 책에서 들을 수 있는 위로의 말을 들려주는 책이다. KBS 클래식 FM <출발 FM과 함께>에서 소개된 책들 중에서 상실과 불안, 고독, 자유라는 4가지의 주제에 맞는. 지금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와 닿는 위로를 해주는 책들을 소개해 준다. <아주 오래된 말들의 위로>에는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부터 헤르만 헤세의 '크눌프'까지 총 40권의 책에 관한 이야기가 들어있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중에는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또 다른 의미가 담겨있는 것들도 있었다. 모든 것이 그러하겠지만 책 역시도 사람에 따라,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읽힌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느껴보지 못 했던 또 다른 위로를 받음과 동시에 무척 부러웠다. 나도 이런 리뷰를 적어보고 싶었다.

한 번도 이상이나 꿈같은 거 털어놓은 적이 없다. 무엇이 될지, 될 수나 있을지 스스로에 대한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 마흔이 넘어 받은 아버지의 질문은 참으로 자극적이었다. 세상은 마흔 넘은 사람한테서 더 이상 가능성을 찾지 않는다. 현재의 상태를 지금까지의 결과물로 본다. 지금 이 상태에서 그대로 늙을 일만 남은 존재로 바라본다. ~ 그런데 아버지는 나를 아직도 무엇인가가 돼가고 있는 진행형으로 보아주셨다. 그러므로 지금 이 순간을, 이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말라는 뜻이기도 했다. 그러니까 나는 지금, 나로 결정된 시간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나를 결정할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무엇이 나를 결정할까.

책을 읽는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작가의 말처럼 그것은 읽는 사람의 이해와 도량, 선택과 결정에 달린 일이다. 하지만 지금 삶의 막막함을 안고 힘들거나 외롭다면 아주 오래된 말들이 들려주는 위로라는 선물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아주 오래된 말들의 위로>를 통해서 새로운 책을 알게 되었고 마음으로 느껴지는 리뷰를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살면서 항상 마주하게 되는 상실과 불안, 고독, 자유에 관해 오래된 책들이 들려주는 위로와 조언을 들어보고 싶다면, 미쳐 알지 못했던 책의 맛을 알고 싶다면 <아주 오래된 말들의 위로>가 제대로 된 맛을 보게 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