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 - 세계의 전쟁이 만들어낸 소울푸드와 정크푸드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의 인류학'을 주제로 리포트를 쓴 적이 있다. 전쟁은 참고할 자료가 많아서 쉬울 것 같아 선택했는데 리포트를 쓰면 쓸수록 점점 좌절했다. 전쟁이 많이 일어났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인류의 역사에서 세계 곳곳에 그렇게도 많은 전쟁이 일어났다는 건 상상조차 하지 못 했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해도 좋을 만큼 전쟁을 기점으로 세계는 변화하고 발전했다. 음식 역시 그러하다. 우리의 삶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음식 역시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 속에서 새로운 것들이 생겨나고 변화를 겪었다. <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에 나오는 음식들 중에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유래를 가진 음식들도 등장한다. 이 책은 전쟁 속에서 생겨난 음식이라고 범위를 정하지만 현재 우리가 사랑하는 많은 음식들의 역사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음식을 좋아하고 역사를 사랑하는 나에게 더할 나위 없이 재미있는 책이었다. 431페이지의 얇지 않은 두께지만 앉은 자리에서 한숨에 읽어버렸다. 음식에 관련된 서프라이즈를 보는 것 같았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전쟁 속에서 생겨난 음식들에 관해서 이야기한다. 군대에 관련된 음식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건빵이 생겨난 이유, 그리고 그 건빵 속에 함께 들어있던 별사탕이 생긴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건빵 보다 별사탕을 더 좋아했지만 왜 별사탕이 건빵 봉지 속에 들어있는지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건빵 봉지에 별사탕을 처음 넣은 것은 일본 군대이며 별사탕에 다섯 가지 색상을 입힌 이유가 전쟁터의 긴장감을 해소시키는 효과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무척 좋아하는 모짜렐라와 체다 슬라이스가 짝퉁 치즈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매일 아침 달콤한 행복을 주는 커피믹스가 전쟁 속에서 태어났다는 걸 알고 있는가? 이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사랑하는 많은 음식들의 시작이 전쟁 때문이라는 사실은 <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을 읽는 내내 나를 너무 즐겁게 만들어 줬다. 멀지 않은 과거의 전쟁 속에서 생겨난 음식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항우, 임진왜란, 남북전쟁 등에서 유래된 음식에 대한 이야기도 들려준다.

케이준 치킨, 케이준 샐러드, 케이준 소스 등, 패스트푸드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메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다. 이 케이준은 대체 무엇일까? ~ 이렇듯 케이준 스타일을 간단히 말하면 '북미에서 추방당한 프랑스 난민의 음식' 이다. 그러나 문화적으로는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가 스며들어 있다. ~ 케이준 스타일 하면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멋진 느낌이 들고, 지금은 한국에서도 매콤하고 자극적인 맛으로 인기가 높다. 그러나 그 근본은 200년 전 고향을 잃고 쫓겨난 프랑스계 난민들의 눈물이 깃든 음식이었다. 전쟁에서 패하면 가족과 국민이 비참해진다는 사실을 케이준 스타일은 역사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식량난을 겪으며 생겨난 수많은 음식들은 비참한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사람들의 처절한 노력의 결과물이었다. 생존을 위해, 전쟁을 극복하기 위해 생겨난 음식들은 단지 음식이라고 부르기엔 그 안에 너무 많은 의미와 역사가 담겨있다. 인류를 이야기할 때 절대 빠질 수 없는 전쟁, 그리고 그 전쟁이 만들어낸 별미들의 맛이 궁금하다면 <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그 안에는 지금까지 미처 알지 못 했던 다양한 맛이 들어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