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는 자존감이다 - 온전히 나다운 아름다움을 찾는 법
김주미 지음 / 다산4.0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모가 경쟁력인 시대다. 슬프지만 우리는 이왕이면 조금 더 예쁘고 잘생기면 대우받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얼마 전 외국 티브이에서 일반인을 상대로 실험을 한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다. 같은 사람이지만 한 번은 깔끔한 수트를 차려입고, 두 번째는 허름한 옷을 입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실험이었다. 물론 당신의 생각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름한 옷의 사람보다 수트차림일때 더 많이 호의를 베풀었다. 지금 '에이, 사람을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지.' 라고 생각하는가? 만약에 당신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면 과연 당신도 노숙자 같은 차림의 남자가 도움을 청하는데 선뜻 친절을 베풀 수 있을지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 보길 바란다. 외모만을 중요시하는 사회라고 비판하기 이전에 나부터 외모와 전혀 상관없이 상대방을 판단하고 있는지부터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홀로 사는 세상이 아니다. 최소한의 인간관계를 유지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늘 사람들 속에서 살고 있다. 사람들을 만날 때 가장 먼저 나를 보여주는 것이 무엇일까? 내 지갑 속의 지폐와 신용카드? 머릿속에 들어있는 지식들? 가슴속의 뜨거운 열정과 배려? 아마 나의 겉모습, 외모를 보고 상대방은 나를 판단한다. 자신을 나타내는 첫 번째 요소가 되는 외모는 그만큼 중요한 것이지만 외모를 단지 예쁘고 잘생겼다는, 오직 아름다움의 기준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는 외모의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다. 얼굴과 몸을 둘러싸고 있는 껍데기의 탱탱함과 예쁨이 외모의 기준이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모라고 하면 단순한 미의 기준에 맞춰서 생각하기 때문에 못생김과 아름다움에 절망하고 외모 콤플렉스에 빠져있곤 한다.

나도 외모 콤플렉스가 심하다. 얼굴은 크고 턱은 각졌으며 코는 낮고 살집이 퉁퉁하다. 평생 다이어트를 입에 달고 살았지만 10년 전 분노의 다이어트로 6개월 정도 55사이즈를 입어본 후로는 날씬해 본 적이 없다. 한때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도 두려웠고 내가 지금 이렇게 사는 것이 다 내 얼굴 때문인 것만 같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물론 지금도 외모 콤플렉스는 여전하다. 하지만 더 이상 그것에 파묻혀 인생이 내 얼굴에만 좌지우지된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끌려다니지 않을 뿐이다. 과연 자신의 외모에 100%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그리고 외모를 위해서 100% 노력하는 사람 역시 몇 명이나 될까?

<외모는 자존감이다>는 외모가 어떤 것인지 제대로 알고 외모 관리를 통해서 삶의 즐거움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준다. 외모 관리라고 해서 화장을 어떻게 하고 옷을 어떻게 입으라고 말해주는 책이 아니다. 외모 인문학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외모 관리를 통해서 인생을 배우고 살아갈 힘을 얻었다는 저자는 일상에 치여 자신을 잃고 살아가는, 왜 외모를 가꿔야 하는지 그 이유를 잊어버린 사람들에게 다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힘을 북돋아준다.

당신이 어떤 일을 하든 당신이 지닌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데 외모는 큰 역할을 한다. 그동안 스스로 외면보다 내면이 더 아름다운 사람이라며 관리되지 않은 자신의 모습에 안주하고 있었는가? 이제 사람들이 나의 내면을 알아봐줄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자. 군주론을 쓴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이런 말을 했다. "당신이 진짜 어떤 사람인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람들은 당신이 어떻게 보이는지만 알 뿐이다."

 

책 중간중간 자신의 외모를 바라보는 관점, 현재의 외모를 이렇게 만든 이유 등 다양한 질문을 통해서 나를 다시 돌아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누구에게 보여줄 질문이 아니라 오로지 나만 보는 것이라 더 솔직하게 작성할 수 있고 나의 외모에 대해 제대로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자가 컨설팅을 해준 사람들의 사례도 나오는데 대학생부터 직장인, 주부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어서 지금 내가 생각하고 겪는 문제들이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안도감과 위로, 앞으로 상황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하는지까지도 알 수 있다. 특히 마지막에는 더 아름다워진 그녀들의 이야기라는 부록이 들어있는데 주인공들의 사연과 함께 비포와 애프터 사진을 보여준다. 그녀들은 아주 작은 도전만으로 자신이 변하는 모습을 확인했고 앞으로 더욱 아름답게 변화할 것이다. 엄청난 메이크업 오버가 없어도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변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충분히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왜 외모를 관리해야 하는지, 외모가 단지 외모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독자들을 위해 작가는 마지막에 외모의 자존감을 채우는 여자의 습관들을 조언해 준다.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것도 있고 새로운 것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제대로 실천하고 있지 않는 아주 평범한 습관들이다. 시술을 받거나 큰 돈을 들여서 운동을 하는 것만이 외모를 업그레이드 시킬 수 방법은 아니다. 사소한 습관들이 모여서 현재의 나를 만드는 것이다. 매일 실천하는 외모관리 습관 A to Z를 통해서 더 이상 외모에 끌려다니지 않길 바란다.
화장을 하지 않는 것이 내추럴한 것이 아니고 헐렁한 옷을 입고 머리를 질끈 묶으며 일만 하는 것이 열정적인 모습은 아니다. 외모를 관리한다는 것은 남에게 보여준다는 것 이전에 나 자신을 사랑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다. 몇 번의 화장만으로 당신은 빛나지 않는다. 일상의 모든 것이 지금의 당신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외모는 자존감이다>를 통해서 삶에서 외모가 차지하는 본질적인 의미와 자신 없어서 포기해버린 외모관리에 대한 열정을 찾길 바란다. 더 이상 아름다운 누군가를 부러워하지 말자. 이제 당신이 아름다운 사람이 될 차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