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밤의 눈 - 제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큐브와 같은 책이다. 읽는 사람에 따라서 퍼즐 같다고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나는 하나씩 끼워 맞춘 후에 전체를 볼 수 있는 퍼즐보다는 사방이 꽉 짜여진 큐브와 같았다. 맞추는 도중에도, 모두 맞추고 난 다음에도 큐브의 각 면은 그대로의 면일 뿐,어느 쪽을 봐도 큐브의 전체를 볼 수는 없다.

<고요한 밤의 눈>은 제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으로 꽤 독특한 책이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 한순간에 책 안으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있는 책이었다. 이 책은 우리와 시공간을 공유하지만 전혀 다른 세계를 살고 있는 존재인 스파이들의 이야기이다. 책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쌍둥이 언니를 잃은 D, 기억을 잃은 스파이 X, 그런 X를 감시하는 여자 스파이 Y, 슬럼프에 빠진 소설가인 Z, 새로움을 꿈꾸는 중간 관리자 스파이 B 등 각각의 등장인물은 누구의 입을 빌리지 않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모든 에피소드가 1인칭인 소설은 자칫 산만하거나 많은 사연들로 헷갈릴 수도 있지만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상황과 연결고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잘 풀어나간다.

스파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 현재를 살지만 전혀 다른 공간에서 살고 있는 그들의 이야기는 눈을 뗄 수 없게 만들 정도로 무척 재미있었다. 하지만 책을 읽어나갈수록 의문이 들었다. 이것은 진짜일까? 이야기는 진실일까? 그들은 정말 스파이일까? 끊임없이 자신이 스파이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들이 스파이라는 말을 반복할수록 그 존재감은 점점 사라지는 것 같았다. 심사위원의 평 중에 이런 구절이 있다. '스파이 소설이면서 스파이 소설이 아니며, 스파이들의 암약을 다루지만 정작 현대인들의 실존 형식과 그 실존 형식을 결정짓는 통치성을 암시하는 소설이 된다' 나는 이 문장이 <고요한 밤의 눈>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고요한 밤의 눈>은 재미있다. 뒷장이 궁금해서 자꾸 더 읽고 싶게 만든다. 하지만 중간을 넘어가면서 '그래서? 왜?' 라는 의문이 자꾸 들었다. 이야기와 이야기가 맞닿는 부분이 선명하지 않다고 느껴지기도 했다. 작가는 친절하게 모든 것을 설명해 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좋았지만 그래서 싫었다. 수없이 뻗어나간 에피소드들이 마지막에 하나로 모여져 깔끔하게 떨어지는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아쉬울 수도 있다. 그럼에도 <고요한 밤의 눈>은 오랜만에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읽고 싶어서 졸린 눈을 비비게 만드는 책이었다.

<고요한 밤의 눈>은 분명 눈앞에 있지만 돌리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다른 면과 갇힌 공간을 가지고 있는 큐브처럼 뭔가를 알듯하면서도 내가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는게 아닌지, 자꾸만 다른 쪽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조각난 퍼즐을 맞추고 전체의 그림을 보면서 단 한번의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책이 아니라서 한번 더 읽어보고 싶다. 내가 보지 못한 면이 무엇인지,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다시 스파이 X가 되고, 스파이 Y가 되고, 소설가인 Z가 되어서 생각해 보고 싶다. 그리고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글을 쓰는 박주영 작가의 다른 책도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