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로 숨 쉬고 싶은 그대에게 - 직장인의 어깨를 다독인 51편의 시 배달
김기택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세상의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은 바로 나 자신이다. 많은 사람들이 맛집이라 추켜세우는 식당의 음식점이 나에겐 그냥 평범한 맛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고 대부분이 지루해서 싫다는 영화에 엄청난 감동을 받기도 한다. 모두에게 좋은 것은 없다. 책 역시 베스트셀러로 인기 있는 책이 항상 재미있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그리고 시도 그렇다. 모두에게 소설이 가장 좋아하는 장르가 아니듯이 시가 항상 어렵고 지루한 것은 아니다. 예전에 썼던 짧은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는데 나는 시를 정말 좋아한다. 평범한 단어들이 모여서 전혀 다른 느낌을 주는 또 다른 언어를 탄생시키는 시는 그 자체로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시가 그런 존재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조금이나마 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 요즘 <다시, 시로 숨 쉬고 싶은 그대에게>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시는 아니지만 그래서 더 깊은 울림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시를 써오고 있는 김기택 시인의 첫 산문집이라는 이 책 안에는 그가 일 년간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었던 51편의 시와 그에 대한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나 이런저런 생각들을 덧붙여 말하고 있다. 시인은 일 년간 시를 배달했기 때문에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에 읽기 좋은 시로 나눠서 소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책이 그렇지만 특히 시는 읽는 당시의 감정과 주변 환경에 따라 다가오는 느낌이 전혀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요즘 내 마음이 그런 건지, 나는 이 책안에 담겨 있는 51편의 시에서 늦가을에서 초겨울의 새벽에 느끼는 오싹한 스산함을 느꼈다. 아직은 가을이겠거니 얇은 외투를 입고 새벽 골목을 나설 때 불어오는 싸늘한 겨울의 바람, 그리고 옷깃을 한껏 여미게 되는 그때의 그 느낌이었다. 분명 작가는 봄기운이 나거나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시, 여름의 강렬한 햇빛을 느낄 수 있는 시로 분류했을 텐데 나는 왜 겨울로만 느꼈을까? 아마 시보다 작가의 이야기에 더 집중하며 읽어서 그런가 보다.

길에서는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옆에 있어도, 아무리 주변이 시끄러워도, 마치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자유로웠다. 시를 쓸 때 필요한 것은 조용한 분위기와 독립된 장소가 아니라 의식의 자유로움과 익명성의 편리함이었다. 시끄럽고 혼잡한 전철이나 버스나 대로변에서도 홀로 산사에 있는 듯 집중하여 시를 쓸 수 있었다. 소음과 혼잡과 어수선함은 시를 방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시 쓰는 나를 자극했다.

김기택 시인은 소개하는 시를 작가의 입장에서 사족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감상과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함께 들려주고 있다. 마치 숨어있는 보석 같은 한 권의 시 모음집과 김기택 시인의 에세이집, 두 권의 책을 읽는 것 같았다. 특히 각 시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붙여진 산문의 제목들이 하나의 싯구처럼 너무 아름다웠다. 많은 문장들이 좋았지만 그중에서도 '이별은 투명인간과 사는 것'이라고 붙여진 제목과 글이 기억에 남았다.

누가 이별을 헤어지는 것이라 하는가? 이별은 헤어지는 게 아니라 없으면서도 있고 있으면서도 없는 사람과 함께 지내는 것이다.

작가가 소개하는 시를 읽고 그의 감성을 따라서 시를 느껴도 좋다. 작가의 산문은 나중에 읽고 먼저 시부터 오롯이 나만의 감성으로 만나봐도 좋을 것이다. 가을을 좋아한다면 가을에 읽는 시를 소개하는 3장부터 읽어도 상관없다. 시란 그런 것이다. 형식도 순서도 필요 없다. 읽고 느끼며 마음에 들어오는 데로 가만히 놔두면 된다. 시인이 배달해주는 51편의 시와 산문으로 가득한 <다시, 시로 숨 쉬고 싶은 그대에게>를 통해 시가 주는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함께 즐겼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