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수 클리볼드 지음, 홍한별 옮김 / 반비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책을 읽은 후에 느껴지는 감정과 행동도 제각각이다. 혼자 생각하고 고민하며 가슴에 담아두고 싶은 책이 있는가 하면, 잊고 싶지 않은 문장이 많아서 메모를 하면서 읽는 책도 있다. 혼자 읽고 생각하고 쓰는데 익숙한 내게 가장 난감한 책은 바로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처럼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지는 책이다.

책을 읽고 난 후에 내가 가장 먼저 했던 일은 회사 동료에게 질문을 한 것이다. "혹시 이 책 읽어봤어요?"
책을 읽으면서 내가 생각했던 문제가 맞는지,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게 이런 의미인지 등을 홀로 모니터를 보면서 써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와 의견을 나누며 이야기하고 싶었다.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는 제목 그대로 사건의 가해자 중 한 명의 어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두 명의 남학생이 학생과 선생님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총격을 가한 후에 자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 두 명의 학생 중 한 명인 딜런 클리볼드의 엄마가 바로 책의 저자이다. 아이를 사랑하고, 사랑하고, 사랑한 평범한 엄마였던 그녀는 '왜 내 아이가 그런 짓을?' 이라는 질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진다. 1부에서는 총격 사건을 시작으로 사건 이후에 일어났던 일들과 사건 이전에 아이와 있었던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2부에서는 아이의 시간을 꼼꼼히 나눠 그 당시 아이의 행동과 말을 기억하며 왜 내가 그토록 사랑했고 사랑을 줬던 내 아이가 끔찍한 일은 저질렀는지에 대해 이해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아이를 키우면서 놓쳤던 많은 것들을 알아차리라는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이 책을 뭐라고 한마디로 단정하기에는 힘이 든다. 자극적인 사건과 심리묘사가 있으나 실제 일어났던 일이니 소설은 아니고, 가해자의 엄마가 사건을 말하고 있지만 자신을 용서해 달라는 형식의 자전적 에세이도 아니다. 그녀는 자신의 책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알 수 없는 것을 이해하려고 애쓰는 데에 바치는 16년
가해자의 엄마로 자신의 마음이 편하기 위해 쓴 책은 아니다. 자신과 그녀의 아들, 아들이 죽인 희생자들의 고통이 줄어들기 위한 기록이다. 그리고 더 이상 '내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모르겠어요' 라는 말과 함께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아가는 부모들이 생겨나지 않기 위해 알려주는 지침서와 같은 책이다.

딜런이 안기고 몸을 부비고 애정을 듬뿍 받고 있는 사진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고 안도한다. 길에 나가 아무나 붙들고 사진첩을 보여주고 싶다. '보세요.' 하고 말하고 싶다. '이거 봐요. 나 미친 엄마 아니예요. 우리가 얼마나 행복했는지 보라고요!'

"좋은 부모라면 아이들이 어떤 상황인지 알죠." 컴퓨터교사의 말이 어떤 악의에 찬 독설보다도 더 아프게 나를 찔렀다. 그 말이 사실이 아니어서가 아니라, 나 역시 그렇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는 깊은 호수와도 같은 책이었다. 슬프고 격한 감정들이 가득할 거라는 생각과는 전혀 다르게 책은 사건에 관한 객관적인 진실과 저자가 겪은 감정들, 사건 이후에 자신의 아들이 왜 그런 일을 했는지에 대해서 알아내고 고민하면서 좌절했던 마음을 너무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고요한 슬픔의 깊이를 이해할 수 없기에 읽는 내내 가슴 한켠이 찌릿했다.

우리는 요즘 충격적이고 절대 익숙해질 수 없는 많은 사건, 사고들을 접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가해자들에 대해서 말한다. 그런 끔찍한 일을 저질렀다면 그 사람도 제대로 된 환경에서 자라지는 못 했을 것이다. 1999년부터 저자가 가장 고통스럽게 들었던 말들을 2016년의 우리도 도돌이표처럼 하고 있다. 피해자의 이야기가 있듯이 가해자의 이야기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가해자들이 우리 곁에 있는 지극히 평범하고 행복한 가정과 진한 우정이 나누는 친구들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좋은 엄마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의 자녀가 아무도 모르게 혼자만의 어둠 속에서 헤매고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은 생각만 해도 무섭고 가슴 아픈 일이다.

'내가 부모인데 어떻게 내 아이를 제대로 모를 수가 있겠나'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그 생각이 얼마나 오만한 것인지 깨닫게 해준다. 누구보다 가깝지만 그래서 더 낯설 수도 있는 존재가 바로 자녀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그만큼 자극이 가득한 이 시대에 부모들은 더욱 자녀들을 이해하기 힘들다. 그렇다고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가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에 대해 어떤 조언을 해주는 책은 아니다. 누구라도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험한 저자의 처절함과 막막함을 나누고 늦기전에 깨닫고 행동하게 해주는 책이다.
' 나는 알아차리지 못했지만 당신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저자의 슬픈 조언이 책을 읽는 내내 귓가에 맴도는 듯했다.
불편한 감정이 들 것 같아서 피하면 안 된다. 슬프고 두렵지만 엄마라면, 꼭 한 번은 읽어봤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