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 룰렛
은희경 지음 / 창비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려령의 단편 '샹들리에'에 이어 이번 창비의 단편하게 책읽는당으로 읽은 책은 은희경의 <중국식 룰렛>이다. 샹들리에를 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바로 <중국식 룰렛>을 읽어서 그런지 둘을 자꾸 비교하게 된다.

샹들리에가 쉽게 이해되고 유쾌하게 읽었다면 <중국식 룰렛>은 몇 번을 다시 읽게 되는 책이었다. 한 손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의 샘플북에 짧지 않은 단편을 담아 놓아서 글자는 작고 빽빽하다. 처음에는 빽빽한 글자 때문에 읽기 힘든 줄 알았다. 하지만 곧 책에 담긴 의미를 내가 제대로 따라가지 못 해서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에 받는 단편은 <중국식 룰렛> 안에 들어있는 6편의 단편 중 두 번째인 '장미의 왕자'이다. '장미의 왕자'는 한 사람이 아닌 그와 그녀의 시선에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그녀가 우연히 가지게 되는 수첩의 글귀를 기준으로 그와 그녀의 시선이 바뀐다. 처음은  따라 읽기에 급급해서 어떤 내용인 줄 파악하지 못했다. 그래서 다시 한번 더 천천히 읽었다. 은희경의 이야기는 추상적이지만 문장이 어렵지 않아서 쉽게 읽을 수 있다. 과하지 않은 섬세한 감정 표현이 좋았다. 하지만 알듯하면서도 확실하게 이해되지 않는 이 느낌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시 한번 더 읽어봐야겠다.  쉽지 않아서 더 매력있는 <중국식 룰렛>의 다른 단편들은 어떤 이야기인지 궁금해진다.

그러고도 다음 날이면 약속된 시간에 배달된 우유처럼 내 마음이 당신의 문 앞에서 다소곳이 아침을 기다리고 있던 날들이, 대체 몇번이었는지. 나는 그 마음을 당신이 조금이나마 알아주기를 얼마나 바랐는지 모른다.

당신은 언제나 수트를 입는다. 당신이 찻집의 문을 열고 들어설때면 언제나 바람의 가벼운 기척과 희미한 향기가 함께 들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