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정유정의 소설답다. 문장 하나, 단어 하나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는 정유정의 장편소설 <종의 기원>. 
시간이 맞으면 재미있게 읽지만 굳이 소설을 찾아서 읽는 편은 아니다. 처음 정유정 작가를 알게 된 <7년의 밤> 역시 우연히 재미있다고 추천받아 읽게 되었다. 워낙 유명한 소설이라 내용은 이미 알고 있었지만 나도 모르게 책 속으로 빠져들었다. 엄청난 반전이 있는 스릴러는 아니었지만 문장 하나하나가 주는 쫄깃함이 제대로인 책이었다. 그래서 더 <종의 기원>을 기대했다. 책을 받은 후 끝까지 읽을 시간이 없을 것 같아서 아껴두었다. 마치 나만의 의식을 치르듯이 한 편의 소설을 완벽하게 읽기 적절한 때에 <종의 기원>을 펼쳤다.

<종의 기원>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완벽한 악, 그 자체인 주인공 한유진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그의 살인에 관한 이야기이다. <7년의 밤>이 꽤 두꺼웠던 거에 비하면 <종의 기원>은 우선 생각했던 것보다 얇아서 놀랐다. 그래서 부분부분에 대한 설명이나 이야기가 조금 더 자세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하지만 분량에 상관없이 그녀의 글은 여전히 흡입력이 대단하고 매력적이다. 이번 책 역시 사이코패스에 관한 이야기이다. 작가의 손에서 태어난 특별한 악인, 한유진의 눈으로 생각으로 행동으로 <종의 기원>은 흘러간다. 많은 리뷰어들이 '표현이 잔인하다, 제대로 된 스릴러 책, 인간의 악한 본성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책' 이라는사이코패스와 살인에 관해 많은 이야기들을 한다. 하지만 나는 책을 읽은 후 사이코패스, 절대 악, 사람을 죽여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주인공 보다 '모정'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올랐다.

나는 <종의 기원>이 슬프고 가슴 아프다. 
<7년의 밤>이 비뚤어진 부정이라면 <종의 기원>은 슬픈 모정이라고 생각한다. 최선이라 권유받고 믿으려고 각고의 노력을 하지만 늘 불안한, 자신의 선택이 제대로 된 것인지 끊임없이 의심하는 어머니의 마음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메모장. 스무 살이 넘었지만 여전히 '아이'라고 표현하는, 사건 이후 생각이 멈추고 고통을 극복하지 못한 채 견디며 살아가는 모정이 나는 살인이라는 자극적인 내용보다 더 강렬하게 느껴졌다. 그렇다면 과연 엄마의 선택은 옳았을까? 의학적인 검사와 의사의 권유로 인간의 삶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은 오만이 아닐까? 한유진은 타고난 포식자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언젠가는 드러날 본성이다. 일찍부터 통제를 시작하든, 또 다른 방법으로 관찰하든 간에 비슷한 결과 또는 더 비극적인 결과가 나타났겠지. 혹은 이유도 모른 채 통제받는 삶이 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을 아닐까? 사이코패스라서 이런 행동을 했다는 것보다 이런 행동이 나타날 수밖에 없도록 만든 그녀들의 선택에 관한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하지만 정답은 없다.

한유진이 사이코패스라는 것과 그가 살인을 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남은 것은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싶은, 아이를 사랑하는 슬픈 모정이었다. 분명 <종의 기원>은 절대 악인에 관한 이야기이다. 스릴러다. 피가 낭자하는 문장들이 넘쳐나는 호불호가 갈리는 소설이다. 하지만 나는 그런 요소들보다 선택과 모정이라는 두 가지의 작은 요소들에 더 신경이 쓰였다. 왜 그렇게 행동했을까. 나에게 <종의 기원>은 인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