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책 읽기를 권함 - 우리시대 어느 간서치가 들려주는 책을 읽는 이유
김무곤 지음 / 더숲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엄청난 독서량을 자랑하는 우리 시대의 한 간서치가 말하는 책에 대한 이 이야기는 책을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백 퍼센트 공감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왜 나는 책을 읽는가?
내가 무작정 이렇게 책을 읽는 것은 잘하는 것일까?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의문점들을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곁들여서 조곤조곤하게 이야기해 줍니다.

내 이 세상 도처에서 쉴 곳을 찾아보았으되, 마침내 찾아낸 책이 있는 구석방보다 나은 곳은 없더라 - 토마스 아 켐피스


나는 왜 책을 읽는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했던 저자의 대답을 들을 수 있어요.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사람들도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엄청난 독서량은 아니지만 나름 열심히 읽어왔던 제가 요즘에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이 바로 내가 책을 잘 읽고 있는 건지,
왜 나는 이렇게도 책을 읽는데 열중하는 걸까?였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런저런 책을 읽었지만 그중에 가장 깔끔한 대답을 들려주는 책이 바로 <종이책 읽기를 권함>이었습니다. 물론 저만의 왜 책을 읽는지에 대한 답을 찾기에는 아직 시간이 걸리겠지만 나름 어느 정도의 아우트라인은 잡아줬다고 할까요?

 책은 친절하게 주석에 많은 부분을 할애합니다. 왼쪽은 저자의 글이 오른쪽에는 저자가 상세하게 적어놓은 주석에 대한 설명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한 권에 책이 두 권의 분량이 들어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자세한 설명이었습니다.
처음에 시작할 때는 주석을 읽으면서 보기가 불편해서  한 단락이 끝난 후 주석만을 다시 읽었는데 제가 알지 못하는 책에 대한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본문 못지않게 주석을 쓰는데 많은 공을 들였다는 작가의 말처럼 친절한 주석이었습니다.

 

인문 독서 열풍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인문 독서에 대한 열망은 엄청난 것 같아요. 하지만 그런 인문 독서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소설을 읽으면 너무 가벼워 보이는 것 같고 시를 읽으면 있어 보이는 척 하는 것 같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책은 자기에게 맞게 읽는 겁니다. 누군가에게 나 이런 고 급진 책을 읽고 있다고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죠.

 

가끔 써먹지도 못하는데 왜 책을 그렇게 열심히 읽는지 물어보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속 시원하게 대답해 주지 못했는데 이 책에서 그 대답을 찾을 수 있었어요.
세상 모든 일이 자기가 직접 겪어봐야 알 수 있듯이 책 역시 읽어봐야지 그 깊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E-book 의 등장으로 종이책이 곧 사라질 거라는 말이 있었죠. 저 역시 종이책이 없어질까 두려워했던 사람들 중에 한 명이었습니다.
하지만 종이책을 읽는 매력을 안다면 절대 종이책을 없애고 차가운 기계를 통해서 책을 읽을 수도 없을 거예요.

 

애너 퀸들런이라는 작가는 책 페이지를 넘길 때의 느낌과 소리를 종이책의 매력으로 말하고 있는데요, 저는 종이책의 냄새를 촉감보다 더 좋아합니다. 새 책은 새워 책대로의 냄새, 고서는 고서대로의 고유의 냄새가 있고요,
책으로 가득한 도서관의 냄새와 서점의 냄새도 다르답니다~
고전부터 읽으라고 하는 것은 "이번에 소풍 갈 때 어떤 옷을 입는 게 좋을까?라는 물음에
"18세기 프랑스 궁정풍의 드레스를 입어라" 고 말하는 것과 같다.

나름 고요하고 진지한 이 책에서 중간중간 유쾌하지만 핵심을 정확하게 비유하는 글 덕분에 지루하게 않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며 읽을 수 있고
책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를 찾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게끔 하는 책입니다.
많은 내용이 담겨 있지만 쉽게 읽히는 책입니다. 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열심히 책을 읽는지가 궁금하다면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