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 바다에 나갈 때는 한 번 기도하고 전쟁터에 나갈 때는 두 번 기도하고 그리고…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 살림지식총서 500
남정욱 지음 / 살림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이라는 광범위하고  한 마디로 깔끔하게 정리하기 힘든 주제가 살림지식총서 500번째의 주제가 되었다.

작가도 뜻밖에 남정욱 교수다. 의외라서 약간 놀랐다. 남정욱 교수가 이런 글을 못쓸 줄 알아서가 아니라 지식총서 시리즈 라는 약간의 격을 갖추고 틀이 잡혀야 하는 분야의 글이라 생각해 온 나는 이런 분야의 글도 그 양반이 쓰는구나! 하는 호기심이 일었다는 말과 같다. .

한 일간지 신문 주말 판에 기고하고 있는 글을 재미있게 읽고 있는 터라 작가가 어떤 사고를 가진 사람일거라는 나름의 추측을 해 온 바, 어떤 식으로 결혼이라는 주제를 지식에 곁들여 풀어 놓았을지 궁금했다. 그를 잘 ( 사실은 전혀) 모르지만 그가 쓴 책이라니 관심이 훅, 갔다 . 지식총서는 그야말로 그 분야의 지식을 망라해 놓은 총서니까 그가 전해 줄 결혼에 관한 지식을 흡입할 스폰지와도 같은 마음가짐으로 책을 읽었다.


결혼의 시작 부터 시대에 따른 결혼의 변천사 우리나라의 옛 결혼 이야기, 결혼을 앞둔 사람들에게 던지는 메세지 그리고 어떤 결혼을 선택할 것인지 묻는 물음까지 책은 일사천리로 나아갔다.

이렇다 할 파격적인 지식이라고는 할 수 없었으나 (우리는 태어날 때 부터 결혼과 연관되어 있고 살아가면서 일륜지대사 결혼에 관해 잡학다식한 얘기들을 너무 많이 들어 온 까닭이다.) 결혼에 얽힌 다양한 풍습과 내력, 현 세태를 꼬집는 결혼의 의미, 결혼에 임하는 자세들...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일단 독자를 지루하게 하지 않았다는 것 만큼은 분명하다.


지식총서가 500권까지 나올 때는 500가지의 주제가 있었고 500명 가량의 저자가 있었을 것이다. 내가 읽어 본 것은 겨우 서너 권에 불과 하지만 500권의 주제들을 가볍거나 읽기 쉬운 주제만을 택하지 않았음은 제목만 쭈욱 훑어봐도 금방 알수 있다. 신비롭거나 호기심 어린 제목도 눈에 띄지만 대부분은 제목만으로 압도되는 주제가 많다. 저자 대부분이 교수다. 그 분야에서 좀 한다는 소리 듣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지식의 엑기스만 뽑아 펴낸 책들이라는 뜻일 것이다. 살림지식총서의 책들이 일반 책에 비해 얇고 크기가 작은 문고판이다. 가격도 부담없다고 할 수 있을 만큼이다. 건빵 주머니에 들어갈 만한 크기로 그 분야의 지식도 넓히고 교양도 쌓기엔 이 만한 책이 없다.


그런데, 왜 이 책이 500권이나 나오는 동안 공전의 히트를 쳤다는 책이 없는지 약간 궁금해 진다. 내가 모르고 있어서 그런건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지식은 딱딱하다는 선입견에서 이 책이 필요한 배우는 학생이나 연구하는 지식인들 말고는 잘 손이 가지 않는다는데 이유를 찾아본다. 필요하면 도서관서에 빌려보면 되는 책이 된 건 아닌가 싶다. 괜찮아서 내 책장에 꽂아두고 싶은 책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500권을 이어 온 저력의 저변이 확대될수 있을텐데....

그런 의미에서 남정욱 교수의 [결혼]에 관한 이야기는 무겁지 않으면서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야기를 이어가는 그러면서 날카로운 현실적인 지적이 있어 지식이라면 머리가 아픈 사람들이 읽어도 쉽게 다가설 내용들이었다. 딱딱한 총서들 사이 말랑말랑하고 달콤한 마시멜로가 끼여 있다고 생각하면 될것이다. 


2003년 처음 책을 펴내기 시작한 이래 12년 동안 꾸준히 발걸음으로 달려 온  살림지식총서는  4~5천 권 이상씩 문고를 출간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2~300호를 넘기지 못하는 우리나라 문고 시장의 현실을 뛰어넘었다고 들었다.

많이 읽히느냐 아니냐도 중요하지만 우리 출판계에도 우리나라 필진으로 이루어진 500호를 넘는 문고판이 있다는 것 만으로도 감사하게 여겨진다. 지식욕이 없는 나같은 사람은 아마 600권째 책이 출판되었다는 소식이 들리면 그새 100권이 더 만들어졌구나..하고 말겠지만 누군가에게 꾸준히 읽히고 찾게 되는 책이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바다에 나갈 때 한 번 기도하고, 전쟁터에 나갈 때는 두 번 기도하고 그리고...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는 표지의 말에 웃다가 결혼이라는 대부분의 사람이 맞닥뜨리고 사는 이 평범하면서도 귀한 명제가 얼마나 우리 인생을 풍요롭게도 아프게도 할 수 있는 것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고 맺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