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남편을 버리고 싶다 -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20편의 드라마
이재진 지음 / 글로세움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 아니면 못살겠다'고 하던 연애 때가 있었다면'너 때문에 못살겠다'고 하는 결혼 후의 시기가 있다는 농담이 생각난다.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싶지만 변하지 않는 건 '변하지 않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것 밖에 없다는 말을 생각하면 슬프지만...사람도 사랑도 변하는 게 당연한 듯 싶기도 하다.


[가끔은 남편을 버리고 싶다]는 부부사이의 갈등을 상담하면서 부부관계의 균열을 판단할 수 있는 균열의 유형을 구분해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의 문제를 분석하여 파국으로 치닫는 고통을 예방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펴낸 책이다.

모두 4장으로 섹스, 아픔, 외도, 사랑법에 관한 실사례와 상담자로서의 어드바이스를 적어 상담이 필요한 분야의 사람에게 도움이 되도록 적고있다.

여성 내담자 입장에서 느끼는 부부관계의 균열과 문제점을 주로 이야기 하고 있는데, 어떤 분야에서든 고통의 강도는 비슷하다고 해도 고통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저마다 다르다는 점이 이 책을 눈여겨 보게 했다.

나는 어떤 유형의 균열 요소를 안고 살아가고 있는지 스스로 판단해 보는 기회가 되기도 해 지금의 부부관계를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누구나 다 부러워할 만큼 행복해 보이는 부부가 하루 아침에 이혼을 발표하기도 하고, 남들이 보기엔 어떻게 저러고 살아? 싶은 부부지만 나름의 행복을 찾아 잘 사는 부부가 있는 걸 보면 산다는 것에 어떤 정답이 있는 건 아니고 정해둔 기준이 있는 건 아닌 듯 싶다. 

하지만, 부부 사이에 어떤 문제가 감지되고 봉착되었을 때 어떻게 풀어나가는가에 따라 파행을 막을 수도 있고 그 과정에서의 고통을 줄이는 방법을 안다면 비 온 후 땅이 더 굳어지듯 부부관계가 더 돈독해 질 것이다.

그래서 숨기고 끙끙거리다 관계 회복의 기회마저 놓치고 상처만 남긴채 등 돌리는 일을 막기위해 부끄럽지만 부부관계의 치부를 드러내고 상담을 받는게 아닐까 싶다. 아직은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있고 다시 이전의 사랑했던 부부로 돌아가고 싶은 소망이 있으므로.

'사랑과 전쟁'보다 더 드라마틱한 리얼 스토리라고 적고 있지만, 읽고 있으면 정말 이런 일들이 실제 존재하고 있고 드라마가 없는 일을 지어낸 것이 아닌 걸 알 수 있어 씁쓸하다.


부부관계의 균열이 외도에서 오든, 성격에서 오든, 섹스에서 오든 문제의 중심에는 '나에게 좀 더 관심을 갖고 사랑해 달라'는 메세지가 있음을 알았다.

챕터와 챕터 사이 상담사로서 부부관계의 균열을 막을 수 있는 Tip들이 있어 아무런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는 부부라 할지라도 한 번쯤 읽어두면 좋은 부부관계 유지에 도움이 되는 글 이었다.


처음에 말했듯, 변하지 않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걸 생각한다면 변해가는 사랑에 맞추어 나를 변화 시켜 보는 것도 한 벙법일 것 같았다.

나는 변하는데 남편의 사랑이 변하지 않기만을 바라는 것도 이기이고 욕심일지 모른다. 반대로, 나는 변하지 않았는데 남편의 사랑이 변했다면 속상하지만 그 마음을 되돌리는데 최선을 다해야 사랑했다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버리고픈 남편'을 '갖고픈 내 편'으로 만드는 행복 카운슬링!

남편이 왜 항상 남 편인지 나도 궁금한 적 많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남편도 변하지 않는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리려 보냈던 신호였다는 걸 알았다.


가끔은 나도 남편을 버리고 싶을 때가 있지만 칼은 칼 집 안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다는 말을 생각하면 서로 좋은 보호막이 되어주고 좋은 쓰임이 될 때 훌륭한 조합은 이루어 지는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