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담 & 싱어 : 매사에 공평하라 지식인마을 16
최훈 지음 / 김영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밴담&싱어, 매사에 공평하라 

 

 

나를 포함한 공공의 이익 앞에 우리가 얼마나 헌신할 수 있을까?

[매사에 공평하라]는 메시지가 무엇을 어떻게 시사할 수 있을까?

매사 좋은 일에 동기를 부여하는지 아니면 결과적인 부분에 치중하는지 생각하게 만들었다.

동기가 좋다면 결과도 좋으리라는 생각이 너무 막연한 생각이었나.

어떤 식으로든 행동은 결과를 낳는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공리주의의 원칙이라면, 현실적인 상황에서 행동 전에 선택이 머뭇해진다.

마침,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날 아침에 여행을 떠났다.

여행 내내 돌발 상황에서 공리주의적인 선택을 의식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언제나처럼 현명하고 지혜로운 판단을 하려고 노력했겠지만

새벽 내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개념이 머릿속에 맴맴 돌았던 터.

한 가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가져올 결과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지 생각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는 나를 포함한 세상에 얼마나 공평한가.

'공리주의' 원조인 벤담과 영향력을 가진 싱어의 철학적인 사고를 토대로

부당한 사회에 대한 실험적인 생각을 해 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이 문장이 염세적이라면 세상은 공평하다고 단정하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 것인가.

이 책의 중반부 뒤편에는 동물과 인간에 대한 불평등, 즉 감정을 가진 동물에게도 공평의 논리를 부여한다.

인간들이 모두 채식주의를 선언해야 한다는 문제제기들이 다소 불편하게 느껴지지만,

사육의 방식은 철저히 개편되어야 한다는 쟁점에는 큰 공감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철학적인 사고가 작게는 행동의 변화를 불러오기도 하지만 육식을 한다는 자체를 비하할 수 없다는 생각이다.

책의 내용에도 언급되었지만 알래스카인들은 추위를 견디기 위해 동물의 불포화지방산을 필요로 한다.

생존의 문제 앞에 인간은 얼마나 공평할 수 있을까.

동물을 잡아먹지 않는 것이 우리에게 얼마나 이득이 될 수 있을까.

 

공정한 사회, 윤리적인 삶.

기준은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따라가보는 책.

기부 문화가 확산되고 사회는 현상을 이끌고 있다.

기부가 의무일까, 자선일까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만약 기부를 하고 있다면, 그 행동을 일으킨 시작점은 무엇이었을까?

동정심인가 아니면 마음의 위안인가.

이도 저도 아니면 보이는 결과 때문인가에 대한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공리주의'에

대입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은 유익한 시간이다.

철학적 사고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 책을 읽고 그런 선택을 한 사람들처럼 말이다.

 

'공리주의'는 요즘의 시대가 던져야 할 화두이다.

나는 매사에 공평한가?

 

 

 

http://hanmeera.blog.me/1101743778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