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 달라는 말을 잘 못했을 때, 나만 외로운 줄 알았다. 하지만 부탁하는 사람이 되고 나서야 느낄 수 있었다. 내가 얼마나 주변 사람들을 외롭게 만들었는지. 건강해진 나는 주변에 도움을 청한다. 그리고 반드시온 마음을 다해 고마움을 표현한다. "엄마 없으면 어쩔 뻔했어!" "어머님 덕분에 푹 쉬었어요." "자기가 있어서 다행이야." 이런 말들은 마음을 더 말랑말랑하게 만든다. "내가 알아서 할게." "걱정하지 마."라는 말을 달고 살았을 때보다 더 사람답게 사는 기분이 든다. 앞으로도 병에 의지하지 않고 도와 달라는 말을 하고싶다. 그렇게 주저 없이 손을 내밀고, 나 역시 누군가 내민손을 잡아주고 싶다. 서로의 곁을 내주는 건강한 거래를오래도록 계속해 나가고 싶다. - P65
몸이 아프고 마음이 힘들면 좋은 말도 곱게 듣지 못하게 된다. 장미꽃을 받아도 향기를 맡지 못하는 것과 같다. 꽃을 보는 대신 가시를 움켜쥐고 괴로워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위로를 하고 싶을 땐 차라리 ‘점이라도 찍을 힘‘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 주면 어떨까? 당신이 건넨 장미 향기를맡으며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 때까지만. - P79
하지만 나를 대하는 근심 어린 얼굴들을 보고 깨달았다. 상대방이 걱정될수록 마음을 편하게 해 주는 게 먼저라는 걸. 갯벌에 숨은 조개를 찾듯 마음속에서 진심을 캐낼 필요는 없다. 숨기고 싶어 하는 마음은 그대로 둔다. 우선은 그 사람이 보여 주고 싶은 만큼만 믿어 주고,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만큼만들어 주면 된다. 이제는 걱정된다는 이유로 내 멋대로 상대의 마음을 가로지르지 않으려 한다. 머리로 하는 걱정보다 행동하는 배려가 중요하다는 걸 기억하면서. - P86
누구에게나 보살핌은 필요하다. 특히 몸과 마음이 약해졌을때 보살핌은 더욱 간절해진다. 이때 중요한 건 내가 나를 보살피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내 마음이 뭘 원하는지, 어떤 기분인지 그걸 먼저 알아줘야 한다. 그래야만 남들에게 짜증을 걷어내고 제대로 원하는 걸 말할 수있다. 마음이 한껏 비뚤어질 때, 나에게 물어 본다. "네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야?" - P96
한 손에 꼽을 정도로 남은 친구들과 ‘느슨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분명한 원칙이 생겼다. 모든 관계에서 나를 최우선에 둔다는 것이다. 밖으로 안테나를 세우는 대신 예민하게 내 감정을 살핀다. 이기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서로가 편안해지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행복해야만 타인에게도 관대해질 수 있기때문이다. 그래서 하루 세 번 양치질하듯 규칙적으로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내 안에 에너지가 바닥난 상태로는 누구를 만나도 즐거울 수 없으니까. - P114
‘나를 사랑하는 생활을 하면‘ 여러 사람을 좋아하면서 아무도 미워하지 않고 몇몇을 끔찍이 사랑할 수 있다고. 나를 가장 사랑해야만 다른 사람에게 온기를 나눠 줄 수 있는 거라고. - P115
타인의 불행의 무게에 따라 내 행복이 결정되지 않기를 바라며, 오늘도 시소에서 내려오는 중이다. - P123
스스로 ‘늙은이‘라고 하지만 정작 그녀들의 모습을 보면 그런 말이 무색하게 느껴진다. 노년의 삶을 거저 얻은 보너스쯤으로 여기지 않기에 누구보다 젊다.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며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젊은이‘의 태도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 P143
"남한테 나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애쓸 필요 없어요. 내가 그런거면 그런 거예요.누가 그걸 옳다,그르다 할 수 없어요.내가 나를 좀 더 인정해 주면 어떨까요?" - P152
건강하기만 하면 된다고, 내 삶의 다른 중요한 것들을 꾸깃꾸깃 접어 버리고 싶지도 않다. 대신 크고 작은 일에 도전하면서 결과가 어떻든 도전한 나를 응원하면서 살고 싶다. - P189
목적지에 가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되자 즐거워졌다. 어디에 도착하려고 애쓰지 않았을 때 느낄 수 있는 행복이었다. - P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