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기다리던 리베카 솔닛의 신작이 나왔다!! 전작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이후로 내는 책이라고 한다. 흥미로웠기 때문에 신작도 꼭 읽어보고 싶었다.
이전 까지는 페미니즘의 부정적인 정보들만 접해서 확신이 서지 않았다. 그러다가 강남역 살인 사건으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더 나은 삶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이 책은 외국 작가가 쓴 책이다. 즉, 책에서 나오는 예시 모두가 우리 정서와는 조금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사점이 많고 알아둘 내용이 많다.
인상 깊었던 대목
신작을 읽으며 가장 눈 여겨 보았던 부분은 남자들, 페미니즘에 합류하다’이다. 기존의 페미니즘 책들은 보통 여자들의 시각들 다루고, 남자들의 잘못을 따끔하게 지적한다.
말은 아니지만 공격적인
말투로는 남자들이 공감하지 못 할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후기들을 보면 (대부분 독자들은 여성이지만) 대부분의 남자들은 불편해한다. 어쩌면 당연하지만, 그게 끝이다.
왜 불편한지, 그 불편함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까지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비교적 편안하게 읽었다.
아무리 백날 천날 여성들이 목소리를 내도 정작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남성들이 귀 기울이지 않으면,정말 소용이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문제를 여성이 먼저 인식을
하고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을 대단한 일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남성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최대 과제인 듯 싶다.
여자가 읽지 말아야할 책 80권
이 챕터에서는 먼저 잡지에서 소개가 된 남자가 읽어햐 할 책 80권의 리스트를 알려준다. 문학 속 성차별 사례를 간단히 알려주며 작가들의 부족한 젠더 감수성을 알려준다. 이렇게 대중문화 속 여성들이 소비 되는 이미지가 얼마나 가벼운지 알려주는 대목이었다.
서점에 갔다가 여러 코너를 돌던 중 정말 눈살 찌푸려지는 잡지책을 보게 되었다. 남자들을 위한 잡지인데 커버가 정말 야한 수영복을 입고 있는 여성의 모습이었다. 그 여성의 자세며 풍기는 분위기가 남자들을 자극하기 딱 좋은 배경이었다. 만약 반대의 경우 였다면... 남성이 여성 잡지의 표지 모델이 되었다면 과연 저런 모습이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 그런 사진을 찍어야하는 여성이 안타깝기고 했고 여전히 여성은 남성들의 성을 충족 시켜주는 존재인가 싶어 불쾌하기도 했다.
마무리
올해 들어 들어 본 단어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단어는 '젠더 감수성'이다. 얼마나 오래 전 부터 존재해 온 단어인지는 모르겠으나, 정말 중요한 단어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젠더 감수성을 키워서 성평등이 이루어지는 날이 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