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영웅 나일심 좋은책어린이 고학년문고 3
이은재 지음, 박재현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꿈을 심고 생각을 키우는 좋은책신사고 좋은책어린이의 고학년문고
또래 아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생각의 깊이를 더하는 즐거운 책 읽기가 되지요.

 


그 세번째 이야기로
좋은책어린이 고학년문고3
가짜영웅 나일심

 
 영웅이라고 생각했던 아버지의 사업이 망하게 되면서
일심이의 생활은 이전과 확 달라졌어요.
집안형편이 어려워지면서 잘 다니고 있던 사립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다세대주택의 반지하로  이사로 오면서 전학을 오게 된 일심이

저도 중학교때 집안형편으로 전학을 가게 되었어요.
제가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였기에 그냥 학교에 적응했던 기억이 있어요.
저희 아이들또한 저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와서 새 학교에 적응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렸답니다. 분명 이전학교때와는 다른 생활속에서 아이들이 새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게 되지요.

더구나 좋은 환경으로의 이사가 아니라 집안 형편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사는 곳 또한 예전만큼 못한 곳에서의 생활은 스스로 초라하게 만들수가 있겠지요.
6학년인 일심이에게 이런 환경은 정말 힘들었을꺼예요.
잘 나가던 그때의 생각들이 자꾸 떠오르겠지요.

새로운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일심이는 새로운 학교 친구들과 어울리기 보다는
기가 꺽이지 않으려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려요.

 

그런데 생각지못하게 일심이의 노래를 듣고 한번에 반해버린 한가득이라는 친구와 인연이 되면서
일심이의 생활은 반전을 일으키게 되지요.
가득이는 지적장애가 있지만 이 일대에서 제일가는 부잣집 아들이면서 아이들이 조심스럽게 눈치를 보는 친구였거든요.

우연한 사고로부터 가득이를 구해냈다는 일로 인해 일심이는 학교 어린이 보안관이 되지요.
보안관 명패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도 모르게 달라지는 일심이
명패로 인해 초라하지 않고 당당해 지는 일심이
예전 당당했던 생활로 온듯.

 

보안관 명패가 날개를 달아주듯
도깨비감투가 된듯
일심이의 보안관 생활은 예전의 삶으로 다시한번 가는 길처럼 생각하게 한답니다.
과유불급이라고 했던가요.

보안관으로서의 임무보다는 그 권력을 앞세워 하지 말아야 할 일들까지 생기게 되지요.
잘못된 행동에 대한 용서보다는 그 댓가로 아이들에게 벌금까지 받게 되는 일까지...

 

해서는 안되는 일들이 자꾸 늘어나게 되네요.

주머니속의 명패를 만질때에는 상상했던 일들이 눈앞에 현실처럼 나타나기까지 하고요.

예전의 명성을 되찾듯 보안관 명패는 일심이에게 현실을 왜곡시키는 일들이 하나둘 생기게 되었어요.

 

결국에는 하지말아야할 거짓말들이 하나둘 늘어나게 되지요.
거짓말은 또 거짓말을 낳게 되고
 일심이는 자기말이 진실이라고 굳게 믿지요.
그런 자신을 믿지 않는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어요.

일심이의 거짓말이 모두 들통이 나 버리고
가득이가 가지고 있는 모든 환경이 원래는 자신꺼라고 말하는 일심이...

주변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속에서 일심이는 리플리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답니다.
리플리증후군?
현실과 상상 속의 상황을 분간하지 못하는 병으로
현실에 대한 불만과 지금 상황을 이해할 수 없었던 일심이에게 마음의 병이 생긴거지요.

그런 상황에서도 믿고 따라주는 가득이와 보안관 동생이 있었어요.

힘든 현실속에서 자신의 현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일심이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치료도 받고 병을 이겨내려고 한답니다.

현실과 상상을 분간하지 못했던 리플리증후군의 최고의 치료법은 자기 자신이랍니다.
 캄캄한 동굴 속에 혼자라는 생각보다는 나를 사랑하고 나를 아껴주는 사람들이 있기에
내가 얼마나 귀한 존재이고 사랑스러운지를 말이죠.

 

"누가 뭐래도
너는 나의 진짜 영웅이야.
네가 어떤 처지가 됐든, 어떤 모습이 됐든
그 사실은 절대로 변하지 않아.
난 언제나 널 믿으니까."
누군가가 믿어 준다는 건
사람을 꼼짝 못 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세상을 따뜻하게 바라볼 수 있는 눈과
한결같이 따뜻한 눈길을 보내 주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