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상위 초등 수학S 6-2 (2019년) - 개정 교육과정 완벽 반영 ㅣ 초등 최상위 수학S (2019년)
디딤돌 편집부 지음 / 디딤돌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6학년 2학기 초등상위권수학
2학기 개학을 시작하면서 디딤돌 최상위수학s 6-2로 꾸준하게 심화실력을 쌓아가고 있어요.
상위권의 기준 디딤돌 최상위수학S
학습 스케줄표에 맞게 8주 완성계획으로 이제 4단원 비례식과 비례배분 학습을 마쳤어요.
6학년 1학기 초등수학에서 아이들이 가장 어려워했던 부분이 비와 비율이였는데요.
저희아이는 유독 해당 단원을 많이 반복해서 그런지 별무리학습 학습을 해주었어요.
1학기에 이어 2학기 초등수학 4단원에 1학기의 확장인 비례식과 비례배분이 나오는 것을 보고 수학학습의 확장을 실감하게 되네요.
수학잘하는 아이가 되기위해서는 수학 기본개념을 먼저 탄탄하게 학습을 하면서 난이도 있는 유형의 심화문제들을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이해하면서 사고력도 높아지게 되지요.
어렵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실력을 도전해 볼수 있는 기회는
바로 심화학습이랍니다.
디딤돌 최상위수학S는 친절하게 아이들에게 심화유형학습을 할수 있도록 구성이 잘 되어있어요.
교과서 개념부터 심화·중등개념까지 접하면서 아이의 수학실력을 탄탄하게 만들어갈수가 있지요.
수학을 느껴야 이해할 수 있으면서 이해해야 어떤 문제라도 풀수 있게 되지요.
3단원 공간과 입체에서는 쌓기나무 학습을 했을때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쌓기나무를 살짝 어렵게 생각했는데 심화학습을 하면서 좀 더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더군요.
이어서 4단원 비례식과 비례배분을 학습을 이어 나갔어요.
친절한 교과서 개념 설명과 해당 개념과 연결된 문제를 풀어보면서 개념이해를 다시한번 확인해 보게 되지요.
개념에 대한 설명부분에서도 연비에 대해서 낱말 뜻도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네요.
교과서 개념부분만 제대로 읽고 넘어가도 문제푸는데 어렵지 않아요.
같은 개념을 소단원별로 학습을 할 수 있어서 더 꼼꼼하게 짚어나갈수가 있지요.
비례식과 비례식의 성질에 대한 교과서 개념도 소단원별로 개념설명을 친절하게 해주면서 해당 개념에 대한 문제도 풀어보게 되지요.
초등상위권문제 디딤돌 최상위수학S는 상위권 개념에 따른 유형설명을 주제어와 시각화로 보여주고 있어요.
해당 심화유형을 이해하면서 대표유형 문제를 통해 문제해결방법도 익히게 되지요.
심화유형 문제를 직접 풀어보면서 상위권을 위해 열심히 준비할수가 있어요.
이왕이면 심화유형 학습을 할때 문제풀이 과정을 대표문제처럼 풀이과정을 쓰면 좋을텐데 참 그게 쉽지 않나봐요. <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6f665762-c82a-4ee2-8c2c-1a71d62906d6"> </p>
그래도 나름 문제 푸는 과정을 보이기는 하는데 쓰는 연습만 제대로만 해주면 좋을텐데 말이죠.
1학기에 했던 비와 비율의 확장이라 그런지 생각보다 문제를 잘 풀어주고 있어요.
심화유형 학습에서 주제어를 반복해서 읽어보고 도식화된 심화개념으로 심화개념유형을 이해해 본답니다.
다양한 유형의 심화학습을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이 될수가 있어요.
비례식과 비례배분은 실생활속에서 다양한 문제들과 접할수가 있는 것을 볼수가 있네요.
공통인 항의 크기를 같게 하면 두 비를 하나의 연비로 만들 수 있다~
연비라는 말도 이미 교과서 개념설명부분에서 알려주니 쉽게 용어이해도 가능하게 되네요.
<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c25ed5dd-ebc1-4672-8277-7d9436b4c534"> </p>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fb44f27d-b987-4007-af72-8bb6e28b1e18"> 심화유형은 문제만 제대로 읽고 이해해도 반은 풀수가 있는데요. </p>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0c6d1e01-e9a3-4f8a-a9fb-881dce2a15e3"> 아이들에게 독해력을 시키는 이유 중 하나도 문제를 풀때 무엇을 구하고자 하는지 이해를 못하기때문에 책을 많이 읽고 이해능력을 키우게 준비를 시키는게 아닐까 싶어요. </p>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99762e77-a709-43a2-8241-950548e66602"> 디딤돌 최상위수학S 심화학습을 하면서 문제를 천천히 읽으면서 식을 만들어 간답니다. </p>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59b65751-2b9d-487a-932f-db0e34b81c4e"> 모든 문제에 대해 풀이과정을 꼼꼼하게 쓰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한두 문제라도 꼼꼼하게 쓰는 연습을 시켜봤어요. </p>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center " id="SE-52de6c88-a684-4b2a-a2a1-8d8c6cd8a71e"> 오히려 머리속으로 계산하면서 끄적되는 것과 달리 식을 쓰고 풀이과정을 차근차근 써보니 문제해결도 훨씬 쉽게 되는 것을 아이가 느끼게 된답니다. </p> <div class="autosourcing-stub-extra" style="zoom: 1; opacity: 1;"> </div>
4단원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심화유형 학습을 마치고 나면 마무리 단계로
Math Master를 풀게 되지요.
은근 여기서로 헤맬때도 있기는 하지만 먼저 아이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 나가도록 지켜보게 된답니다.
QR코드를 이용해 문제풀이 동영상도 제공이 되고 있어요.
무엇보다 아이가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 보면서 동영상 문제풀이는 찬스타임으로 잠시 두었어요.
math master 풀면서 제가 잠시 놔두니 아빠에게 물어보는 녀석이예요.
가끔 남편이 문제를 설명해줄때가 있는데요.
저와는 다른 방식의 설명일때도 있고요.
특히 아이와 학습을 오랫동안 지속했기에 틀린 문제에 대해 예전에 비해 아이에게 다그치지 않게 된답니다.
큰아이와의 학습을 통해 알게된 사실..아이를 너무 다그치면 주눅들어 아는 문제도 제대로 풀리지 않지만
수학을 싫어하게 되기도 하지요.
그때 그시절에 했던 저의 잘못된 부분을 남편이 하더군요.
역시 아이의 모습이 살짝 위축된 모습 포착...아빠는 그냥 옆에서 지켜봐주는 걸로요.ㅎㅎ
문제 풀기 전 먼저 생각해 봐요!를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살짝 알려주기도 하지요.
이해가 되지 않을때에는 문제를 천천히 끊어 읽다보면 어떻게 문제 해결을 해야할지 생각이 나기도 한답니다.
초등심화학습시 본인이 어렵게 느낀 문제들은 미리 별표시를 해두면서 다시한번 풀어보게 되지요.
초등상위권수학 디딤돌 최상위수학S 심화유형을 풀다보면 이렇게 자연스럽게 중등 연계가 된답니다.
내년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기에 중등수학을 접하다 보니 역시나 심화학습을 하는 것이 중등수학 예습과도 맞물리게 되더군요.
고학년일수록 심화학습을 필수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4단원 학습을 마무리하면서 다시한번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문제풀이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면 좋겠더군요.
해답설명을 보면서 살짝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동영상 강의를 봤어요.
최상위 문제를 풀때 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밑줄을 그어 생각해보면서 선생님의 쉽게 이해하며 알려주는 방법을 보고서는 역시나 강의 참고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가 먼저 심화학습을 하면서 생각하는 힘을 키우게 하면서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생님의 문제풀이 강의로 확실하게 내것으로 만들어 갈수가 있겠더군요.
고학년 아이들에게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면서 수학상위권을 위해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학습이 아닌가 싶어요.
스스로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도 미리 겁먹고 포기하지 않고 도전을 하면서 수학실력을 탄탄하게 만들어 가게 되지요.
지난주 수학 1단원 학교 단원평가시험도 만점 받으면서 스타트도 좋게 시작을 했기에 심화학습도
꾸준하게 하면서 탄탄한 상위권 실력을 만들어갈수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