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연산 수학 초등 6B 초등 최상위연산 수학
디딤돌 초등수학 연구소 엮음 / 디딤돌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2주 지나면 아이들의 여름방학 시작되는데요.

아이들 체험학습 계획등 2학기 학습에 대한 준비로 이제 엄마들의 분주한 시간이 시작되었네요.

6학년 1학기 초등수학 디딤돌과 꾸준하게 학습을 하고 2학기에도 이어서 초등수학문제집으로 최상위연산6B와 초등수학 기본+유형 6-2를 준비했어요.

따로 수학학원 다니지 않고 집에서 수학공부를 하고 있기에 교재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더군요.

교과진도에 맞게 탄탄하게 기본기를 준비할 수 있는 교재를 선택하게 된답니다.

초등수학에 있어서 아이들 연산학습은 중요한데요.

사칙연산의 기본이면서 수학학습에서 필요한 기본기를 다지게 해주지요.

 

00.jpg

2학기 7월부터 초등수학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6B를 시작했어요.

 

01.jpg

 

교재 이름만 듣고 최상위연산 어렵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는데요.

최상위연산은 수학이다 6B는 다양한 각도에서 연산의 원리를 입체적으로 만나볼수가 있답니다.

아이들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기 위한 시작으로 연산학습도 최상위로 가는 길에 있게 해주기 위해 최상위라는 이름이 붙지 않았을까 싶어요.

이건 제 생각이예요.

최상위연산이라고 미리 겁먹을 필요 없답니다.

바로 수학은 자신감이 필요하지요.

자신감으로 시작하면서 꾸준하게 학습을 해 나가면 어느새 실력도 쑥쑥 수학의 최상위로 가는 길이 나타나거든요.

02.jpg

 

초등 마지막 학년인 6학년 2학기

초등수학은 중등수학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인데요.

기본기가 잘 되어있어야 어려운 문제도 도전할수 있게 되기에 연산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이 필요해요.

초등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6학년 B 단계에서 학습하게 될 단원들을 보니

중등수학과 연계되는 부분들이 상당하게 보이네요.

비와 비율의 원리, 성질, 활용, 정비례와 반비례의 원리, 활용, 방정식의 원리, 활용, 수의 원리

03.jpg

 

고학년에서 연산실수는 점수와도 연결되기에 원리를 이해하고 정확성과 빠르게, 탄탄하게 연산학습을 준비해야 한답니다.

 

04.jpg

 

수학적 의미에 따른 연산의 분류를 살펴보면서 각 단원의 학습차례들을 살펴보면서 2학기 초등수학 선행을 준비합니다.

 

05.jpg

 

디딤돌 초등수학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수학은

손으로 푸는 100문제보다 머리로 푸는 10문제가 수학 실력이 되도록 하기 위해 계산 방법을 익히는 연산아 아니라 수학실력으로 연결되게 하나의 연산을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이 되어 있어요.

단순 연산은 사칙연산이 아니라 수학이 담긴 연산을 해야 초등, 중등, 고등 수학까지 연결을 해줄수가 있어요.

중고등에서 연산실수로 좋은 성적을 못보는 친구들이 있는데요.

이건 단순 계산실수이기전에 수학에서 필요한 중요한 개념과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지요.

최상위연산 수학에서는 중고등 과정에서 배우는 수학의 법칙들을 초등 눈높이에서부터 경험할 수가 있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계산만 하는 반복 연산이라 아니라 생각하고, 풀고, 느끼면서 연산의 원리를 이해하며 수학적 의미도 알아가게 되지요.

초등연산학습은 반복 계산이 아닌 수학의 기본기를 만들어 주기 위한 학습이기에 아이들이 제대로 연산학습을 꾸준하여 중, 고등 수학의 기본을 잡아줄수가 있지요.

6학년 1학기에서 비와 비율을 접하게 되었어요.

2학기 초등수학에서 비례식이 나오게 되는데요.

1학기에 학습한 연결과정이지요.

1학기때 아이들이 가장 어렵게 느낀 단원이 비와 비율이 아닐까 싶어요.

저희아이는 유독 비와 비율 학습을 꼼꼼하게 준비를 했답니다.

최상위로 가는 학습플래너 작성을 시작으로

최상위연산 수학은 7월, 8월 두달간 학습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짧은 여름방학이기에 집중적으로 학습을 하기 위함이지요.

7월 1일부터 시작한 초등 여름방학 수학 최상위연산 수학 8주간의 학습을 시작하면서

각 단원의 1일차별로 학습을 해도 되지만 아이 학습성향에 맞게 양을 조절해서 하기로 했답니다.

 

06.jpg

 

비는 두 수를 나눗셈으로 비교 한 것인데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을 혼동하면 아이들이 다른 답을 구하게 되지요.

기호 : 를 이용하여

오른쪽에 기준량, 왼쪽에 비교하는 양을 두며,

□에 대한이라는 표현에서 □가 기준량이라는 것을 이해하면 되지요.

 

07.jpg

 

비율을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학습하게 되지요.

비교하는 양의 크기를 기준량에 비추어 생각해 보면서 비와 비율의 원리를 이해하게 된답니다.

 

비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가 있는데요.

저도 아이 학습하는 거 보면서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실수하기 좋은 부분이 비와 비율이더군요.

비교하는 양과 기준량을 정확하게 이해를 해야 실수가 없답니다.

 

08.jpg


비와 비율을 다양한 각도에서 만나볼수가 있어요.

전체 넓이에 댛ㄴ 색칙한 부분의 넓이를 생각하면서 비를 구할수도 있지요,

09.jpg

 

비율은 비교하는 양을 기준량으로 나눈 몫을 말해요.

역시 고학년이 되면 용어를 정확히 알고 이해해야 함을 느끼게 되네요.

 

10.jpg

 

비교하는 양이나 기준량이 변하면 비율은 어떻게 변하는지 다양한 연산으로 원리를 이해하게 되네요.

 

11.jpg

13.jpg

           

백분율은 기준량을 100이라고 생각했을 때의 비교하는 양이예요.

비, 비율, 백분율에 대한 개념 용어도 정확하게 이해하면서 학습을 하면 더 효과적이예요.

14.jpg

 

초등수학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수학 학습을 하다보면 가끔 이런 실수들...

단위를 쓰지 않아서 말이죠.

아이가 초등수학 학습을 하면서 정답을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반복적인 실수들을 확인해 보면서 아이의 빈틈을 매워주는것이 필요하지요.

 


비와 비율에 이어

이제는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는 학습을 하게 된답니다.

큰 수 또는 분수, 소수로 나타낸 비를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는 학습을 하게 되지요.

15.jpg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었을 때 두 수를 보다 쉽게 비교 할 수 있게 되고요.

비의 성질을 이해하게 되는 단원이지요.

비의 전항과 후항에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거나 나누어도 비율은 같다는 비의 성질을 이용해서 연산학습을 하게 된답니다.

 

16.jpg

 

소수점 아래 자릿수가 많은 쪽에 맞추어 곱해야 간단하게 자연수의 비로 나타낼수가 있지요.

 

17.jpg

 

자연수의 비로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두 수의 최대공약수로 나누어서 간단하게 나타낼 수 가 있어요.

5학년 초등수학에서 배웠던 최대공약수가 여기에서도 사용되지요.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은 점차 확장되어 감을 직접 느낄수가 있답니다.

18.jpg

 

자연수의 비로 간단하게 나타날 수 있게 자연수, 분수,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을 능숙하게 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가끔 계산실수로 인해 틀리는 경우가 생긴다면 부족한 부분은 계산 훈련으로 보충 학습을 해 주면 좋답니다.

 

19.jpg

 

노란색 창에서 아이들이 자주 실수하는 부분에 대해서 다시한번 짚어주기에 노란 창을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지요.

20.jpg

다양하게 자연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게 학습을 해 보면서 비율이 같은 비를 구해보기도 하지요.

 

21.jpg


초등 여름방학 수학 최상위연산 수학 2학기에 배우게 되는 비례식을 최상위연산으로 접하게 된답니다.

앞에서 먼저 비와 비율, 백분율에 대해 학습을 해보면서 자연스럽게 비례식으로 연결학습이 되지요.

비례식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비례식을 푸는 학습을 하게 되지요.

앞에서 배운 비의 성질을 이용해서 차근차근 비례식에 대한 학습을 할수가 있어요.

 

22.jpg

 

초등 여름방학 수학 선행학습 시작은 디딤돌 최상위연산 수학으로 알차게 시작하고 있어요.

본격적인 여름방학이 시작되면 좀 더 양을 늘려서 학습량 조절을 해 볼까 싶답니다.

급하지 않게 차곡차곡 기본기를 쌓아가게 해주는 초등수학연산교재 최상위연산 수학 6B로 2학기 초등수학도 자신있게 준비할수가 있어요.

아이들에게 꾸준하게 학습할 수 있는 공부습관도 기르면서 한권을 마무리했을때 보람을 느끼면서 수학실력 향상을 느낄 수 있도록 탄탄한 기본기를 만들어 갈수가 있지요.

초등수학 연산학습은 바로 수학의 기본을 준비할 수 있게 하는 수학학습의 시작이라 생각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