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연산 수학 초등 6A 초등 최상위연산 수학
디딤돌 초등수학 연구소 엮음 / 디딤돌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하나의 연산을 다양한 각도로 만나볼 수 있는 초등수학연산문제집

디딤돌 최상위연산 6A로 6학년 초등연산학습을 했어요.

1월부터 시작한 연산교재 드디어 한권을 마무리하게 되었어요.

고학년이 되니 중학교 수학에 대한 선행도 살짝 고민스럽기도 하지만 초등연산실력이 기반이 되지 않으면 중등수학도 어려운 현실에서 6학년 초등연산학습을 하면서 아이에게 부족한 부분도 찾게 된답니다.

매일 꾸준하게 하는 만큼 부족한 부분도 자꾸 보이게 되네요.

01.jpg

디딤돌 초등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6A

나눗셈의 원리, 성질, 활용, 감각, 혼합 계산의 원리, 성질, 감각을 익힐수 있게 된답니다.

 

02.jpg

최상위연산은 수학적의미에 따른 연산의 분류로 수학실력의 가장 기본기를 다질수 있도록 해 주는데요.

각 단원별 다양한 연산학습으로 수학적 원리도 자연스럽게 익힐수가 있게 되지요.

기계적인 연산학습은 아이들에게 금방 수학에 대한 흥미도 떨어지게 할수가 있어요.

수학적원리를 이해하면서 학습을 하게 되다보면 연산학습의 중요성도 이해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교과수학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답니다.

03.jpg

초등연산교재 최상위연산 6A

9. 분수와 소수의 나눗셈과 10. 분수와 소수이 혼합계산을 학습했어요.

04.jpg

분수와 소수의 나눗셈은 분수를 소수로 고치거나 소수를 분수로 계산하는 2가지 방법이 있어요.

어떤 방법으로 계산해도 결과는 같지만 소수로 고쳐서 계산하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을 때가 있어요.

이때에는 분수로 고쳐서 계산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수가 있지요.

이번 단원의 학습에서는 다음에 학습할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의 기초가 되기에

수를 한 가지로 통일하여 능숙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학습을 하는 것이 좋아요.

05.jpg

먼저 분수를 소수로 고쳐서 계산도 해보고요.

소수를 분수로 고쳐서 계산을 해 본답니다.

두 방법 중 어느 방법이 더 좋은지 생각해 볼수가 있지요.

06.jpg

소수로 고쳐서 계산을 할 때에는 딱 나누어 떨어지만 좋지만 그렇지 않을경우 다시 분수로 고쳐서 계산을 해야하기에 아이는 오히려 분수의 나눗셈을 선호하는 편이였어요.

07.jpg

결과에 맞게 소수를 분수로, 분수를 소수로 고쳐서 계산을 하는 과정을 통해 집중도 하게 되네요.

08.jpg

모르는 수 구하기는 나눗셈의 성질을 이용했는데요.

곱셈식인 경우 나눗셈식을 이용해서 모르는 수를 구할수가 있지요.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를 다시한번 살펴볼수가 있어요.

09.jpg

6학년 초등연산문제집 디딤돌 최상위연산 6A 학습을 하면서 가장 최대 고비의 단원이 아닌가 싶어요.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

자연수의 혼합 계산과 순서는 같지만 분수를 소수로 바꿔야 할지, 소수를 분수로 바꿔야 할지를 빠르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먼저 계산 순서를 표시한 뒤 다음 주어진 식을 보고 계산 과정을 미리 예상하여 알맞은 수를 바꿀 수 있도록 학습지도를 하게 된답니다.

분수와 소수의 혼합계산은 초등 과정에서 다루는 연산 중에서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부분이므로

계산 연습을 통해 수를 알맞게 바꾸는 감각을 길러주어야 하지요.

10.jpg

편리한 방법으로 덧셈, 뺄셈을 하게 되는데요.

덧셈, 뺄셈은 소수로 계산을 하면 통분을 하지 않아도 쉽게 계산을 할수가 있지요.

덧셈, 뺄셈과 달리 곱셈이나 나눗셈은 분수로 계산하면 약분이 되어 소수보다 편리하게 계산을 할수가 있지요.

11.jpg

혼합계산에서 사칙연산 계산 순서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지요.

소수를 분수형태로 고친후 나눗셈은 곱셈으로 변환하여 하게 되는데요.

12.jpg

 

아이의 오답과정을 보니 약분도 잘 했다가 엉뚱하게 중간 계산 값을 분수가 아닌 자연수로 써서 완전 답이 달라지는 경우를 봤네요.

자기가 쓴 계산과정에 대한 혼동은 계산실수를 유발하게 한답니다.

13.jpg

분수를 소수로 고쳐서 계산할때에는 중간과정을 잘 하는거 같더니 엉뚱한 답 실수도 나오고 말이죠.

14.jpg

앞에서 학습한 연산학습을 토대로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 연습을 시작했어요.

소수를 분수로 바꿀지, 분수를 소수로 바꿀지 먼저 생각한 뒤에 계산을 하면 좋을텐데요.

아이가 학습할때 생각을 하고 하는지 살짝 의구심도 생기고 말이죠.

다소 복잡한 소수와 분수의 혼합계산을 먼저 하기전에 계산순서를 표기하고 학습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전학습과 달리 다소 복잡한 계산과정이기에 실수를 줄이면서 차근차근 계산을 하는 것이 필요하지요.

15.jpg

 

생각보다 틀린문제들이 많아서 비상상황이 발생했네요.

나름 풀이과정도 꼼꼼하게 쓴거 같은데 말이죠.

계산풀이과정을 살펴보면서 아이의 문제점을 파악해보게 된답니다.

16.jpg

가로안의 덧셈, 뺄셈의 경우는 계산과정을 일일이 쓰기보다는 간단하게 암산계산하는 과정에서 실수도 보이고요.

소수를 분수로, 분수를 소수로 고쳐서 해야하는 과정에서도 숫자를 잘못 표기해서 계산 오답들이 속출을 하더군요.

17.jpg

틀린 오답들을 노트에 다시한번 풀이과정을 꼼꼼하게 써 보면서 풀게 했어요.

아직은 암산으로 할수 있는 과정도 꼼꼼하게 풀이과정을 쓰도록 해야겠더군요.

중간 계산 과정에서의 실수들로 인해 정확한 계산결과가 나오지 않았답니다.

특히 나눗셈에서 분수의 역수에서 약분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약분을 해 놓고도 계산을 엉뚱하게 쓰게 되니 다음 계산과정에서 잘못된 답이 나오게 되지요.

18.jpg

 

6학년 초등수학연산문제집 디딤돌 최상위연산 6A 학습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 단원인 분수와 소수의 혼합계산에서 아이의 빈틈이 보이면서 그 빈틈을 채우기위해서는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연산학습의 필요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네요.

계산방법만 익히는 계산력을 기르는 것이 아닌 하나의 연산을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분수와 소수의 혼합계산을 통해서도 확실하게 알게 되네요.

조금만 계산과정이 복잡해지니 이런 빈틈들을 보게 되서 오히려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부터 다시 부족한 부분들을 빈틈없이 차곡차곡 채워갈수 있으니 말이죠.

아이도 한권의 최상위연산 6A를 마치고 나서 살짝 아쉬워하기도 하는데요.

마지막 단원이 갈수록 좋은 결과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였던거 같아요. 오히려 이런 실수를 통해 완벽하게 연산실력을 더 늘려갈수 있고 자기의 계산과정에서의 실수들로 줄일수 있게 된답니다.

교과학습과 관련된 연산학습은 물론 좀더 포괄적인 확장된 연산원리를 스스로 이해하고 깨우쳐 갈수 있도록 수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해주는 초등수학연산문제집 최상위연산 6A를 마무리하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