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찍은 사진 한 장 - 윤광준의 사진 이야기
윤광준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과 달리 이책은 어떻게하면 사진을 잘 찍을까에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이책이 중점을 두는것은 '어떻게'가 아니기때문이다. 오히려 '무엇이'다. 사진을 잘찍을수있는 요령이나 비결을 원하는다면 이책을 선택해서는 안된다. 저자의 다음과같은 말을 통해서도 그와같은 점은 쉽게 확인된다: 사진을 잘찍는 요령이나 비결은 없다.

 

그러나 있다면 그것은 단하나다. 많이 찍고 많이 보는것이다. 이책은 기본적으로 사진기에 대해서 말하고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진을 찍는 카메라의 눈이 아니라 사물을 보고 풍경을 보는 사람의 눈에 대해서 말하고있는 것이다. 사진은 물론 카메라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그것은 대상을 바로보는 인간의 눈에 지배를 받는다. 대상을 바라보는것은 인간이지 카메라는 아니기 때문이다.

 

디카를 사기는 샀는데 어떻게 뽀대나는 사진을 찍기는 찍어야될텐데 하는 심산으로 선택한 책이었다. 정말이지 사진 한장 잘 찍어보겟다고 벼라별 책을 내가 다 보고 앉았다라는 심정으로 선택한 책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만한 값어치가 있었다. 사진을 찍는것이 카메라가 아니라 나라는 것을 확인할수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으로 충분한 소득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카메라의 대가인 저자의 다음과 같은 충고는 정말 가슴을 찌르는 한마디이기도 했다: 사진작가같은 전문가들은 오히려 자동노출을 선호하고 또 자주 사용하는데 아마추어들이 괜히 수동으로 노출을 조정해야만 제대로 사진을 찍는것이라고 철썩같이 믿고 고집부리는데는 두손두발 다 들었다라는 한마디는 정말 가슴에 와닿는 한 마디였다.

 

전문작가라고 해서 특별한 자기만의 노하우를 몰래 가지고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수있었기 때문이다. 책의 초반부에 나오는 달걀사진 3년찍기의 에피소드를 한번 꼭 읽어보시기를 바란다. 이 책의 핵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