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머스트 리드 : 인사 혁신 전략 하버드 머스트 리드
리드 호프먼 외 지음, 정수진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가지의 단락으로 나뉘어져 있는 이책은 인사관리 하는 분들의 변화를 바라는 마음에 추천을 하고 싶다

딸아이기 취직을 하려 노력하는걸 보니.. 이책이 무척궁금했다

급변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은 어제의 성공이 오늘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고, 오늘의 혁신이 내일의 성과로 이어지기 보다는

예전에 것을 벚어나지 못해 위기를 맞는가 하면 놀랄만큼 성장을 하는 기업들이 있기도 하다.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도, 운영을 하는 것도 모두 사람이 하기 때문이다.


아무도 은퇴하지않는 색, 고령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이부분이 가장 눈에 띄었다 고령화가 되가고 있는 요즘 시대를 받아들여야 한다.

고령이라고해서 업무능력이떨어지거나 생활력이 떨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책에서는 직장 환경을 재창조하고 연령대 조합에 유의하라고 제시한다.
다양한 세대직원들이 서로 상호보완하고  배울방법을 마련하는 기업들이 장기적 성공으로가는 길에 들어서는 것이다.
또한 유연근무제부터팀구성이 이르기까지 모든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기업 프로세스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현재는 기업들은 개인의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나이가 들면 기술활용능력이 떨어진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혁신을 통해 21세기 인구구조변화에서 잠재력일 끌어냐는 일은 기업 리더들이 반듯이 풀어야할 숙제가 될 전망이라고
이책은 말하고 있다.


다양성 프로그램이 실패하는 이유는 기업들의 직장 내 편견을 없애고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사용하던 것과 똑같은 교육프로그램의 의존하고 있고 이런프로그램의 일부는 상활을 개선하기보다 오히려 악화시킨다

다양성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관리자의 행동을 통해하는 집중을 하나 각종연구 결과를 보면 그러한 접근법은 편견을 불식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활성화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자율성을 침범하는 규칙에 반항하려는 심리때문이다

가장 효과적인 당야성 프로그램은 관라자의 결정을 통제하려고 하는 대신 업무과정에서 여성이나 소수잡단 근로자와의

접촉기회를 더많이 제공하며,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는 욕구를 활용한다.


이책은 모든 단락마다 아이디어 요악이는 부분에 문제,원인,솔루션이 간략하게 정리되어있다.

이부분을 읽고 책을 읽는다면 정리가 빠르게 되는것을 알수 있을것이다.


기업의 미래 가치를 창출하는건 뒤어난 리더가 아닌 적재적소의 인재라는 문구가 눈길을 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