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아파연구소의 통증 제로 신경 스트레칭 헬스케어 health Care 24
정용인 지음 / 싸이프레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통증을 느낄 때면 근육을 마사지해라, 혹은 근육을 스트레칭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하지만, 저자는 신경에 문제가 있어서 통증이 생긴다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말한다. 불편한 통증의 원인이 근육이나 관절이 아닌 신경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통증을 관리하고 완화하는데 필요한 신경 스트레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요즘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책상 앞에서 앉아서 보낸다. 움직임이 적어지며 허리, , 어깨, 팔꿈치, 골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근육을 스트레칭해서 쉽게 통증이 좋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방법으로 호전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여기서 근육, 신경, 순환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과 해결책을 찾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증의 종류와 그에 따른 통증의 원인이 궁금할 것이다. 통증은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인대, 관절, 피부, 장기 등 실질적인 조직에 손상을 입었을 때 나타나는 통증

둘째, 신경이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신경병증성 통증

셋째, 중추민감화(통증 자극 전달 체계의 이상)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

 

우리가 흔히 아는 통증은 첫 번째에 해당한다. 그래서 아프다고 하면 조직이 손상을 입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빈번하게 두 번째의 통증이 함께 나타난다. 그럴 때는 신경의 치료도 고려해야 효과적인 통증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경에 대한 역치(최소한의 자극의 세기)만 낮아져도 크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신경이 손상되지 않았어도 신경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져 있으면 작은 자극에도 아프거나 찌릿한 느낌이 발생하고 통증으로 느껴지게 된다. 따라서 신경 자극 민감도를 낮추는 치료를 해야 한다.

 

잘못된 자세는 근육의 섬유화를 만든다. 고무줄을 당긴 채 시간이 오래 지나면 탄력을 잃게 되고 끊어지는 것처럼 근육도 탄력을 잃고 딱딱하게 뭉치게 된다. 문제는 근육 사이를 지나는 신경이 눌린다는 것이다. 신경의 순환이 안 되고 이는 저산소 상태를 유발하여 신경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면 신경은 예민해지고 가벼운 자극도 통증으로 인식하게 된다.

 

생각보다 많은 통증이 신경과 관련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물론 시작은 뼈와 근육, 관절의 문제일 수 있지만 결국 신경이 통증을 더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치료과정에서 신경을 고려해야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통증에 대해서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데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을 안다면 통증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만성 통증의 위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리치료와 도수치료를 많이 받아도 그때뿐이라고 푸념을 하는 환자들이 많다. 그들에게 필요한 건 타인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통증을 관리하는 습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