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피노자의 진찰실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박수현 옮김 / 알토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책에 처음 관심을 가지게 된 작품은 나쓰가와 소스케 작가의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이다.
나쓰가와 소스케는 의학부를 졸업하고 내과 의사이기에 의료적인 이야기들도 몇몇 있지만 작품들은 대게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일상생활과 편안한 분위기에서의 이야기를 잘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고 나는 그런 점을 좋아한다.


주인공인 데쓰로는 대형병원에서 근무했었지만 대형병원 특유의 비정상적인 운영 시스템과 여동생과 관련한 이런저런 이유로 인하여 대형병원을 나와서 시골의 한적한 동네병원으로 옮기게 된다.
대형병원은 1분 1초의 사투를 다투고 응급환자를 다루는 등 정신이 없는 곳이지만 데쓰로가 있는 병원은 한적하고 나이가 많은 환자들이 많이 온다는 특징이 있다.
그 특성에 따라 위암 말기의 환자, 뇌경색으로 인해 일상적인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등이 병원으로 오지만 그분들은 살려달라, 병을 낫게 해달라라는 요구사항은 하지 않는다.
이미 고치기에는 늦은 병 이여서일까, 환자로서는 그냥 편안하게 의사와 진찰을 하고 행복을 느끼기를 원하는 거같이 느껴진다.
소설은 전체적으로 어떠한 반전이나 박진감 넘치는 전개보다는 잔잔하게 독자로 하여금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게끔 구성이 되어있다.
환자들이 생명에 대한 욕구보다는 현재 어떻게 행복하게 살아갈까 하는 의문과 '죽음'이라는 운명을 기피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자연스러운 자연현상으로 받아들이고 환자 각자만의 진찰을 통해 사연을 듣고 어느 정도의 철학적인 질문과 감동을 주기도 한다.
데쓰로의 진료실 안 책상에 있는 스피노자의 책들은 그가 환자들을 대할 때 환자들의 운명과 상황을 억지로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로 남은 생에서 가치를 발견해나가며 앞으로 어떻게 할지 고민하게 해주는 중요하면서도 티가 나지 않는 트리거 역할을 해주는 거 같다.
따뜻하면서 깊은 여운이 느껴지는 소설이었고 소소한 에피소드를 통해 여운을 남기고 싶으면 읽는 것을 추천하는 소설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