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ㅣ 열림원 세계문학 7
조지 오웰 지음, 이수영 옮김 / 열림원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조지 오웰의 『1984』는 단순한 디스토피아 소설이 아니다.
감시, 언어 조작, 역사 왜곡,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 정신의 붕괴까지 조지오웰은 한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체제에 잠식되어 가는지를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작품 속 나오는 ‘빅 브라더’는 상징일 뿐, 그 존재 유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그 감시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게 만드는 것, 개개인은 스스로를 검열하고, 결국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된다. 앞서 말한것이 조지오웰이 말하고자 한 권력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 물리적 억압이 아니라 심리적인 굴복이야말로 가장 완벽한 지배라는 점에서 이 소설은 냉철한 면모를 보여준다.
주인공 윈스턴은 일상을 감시당하고, 사고마저 제한받는 사회에서 반항을 꿈꾼다. 줄리아와의 은밀한 만남은 체제에 대한 저항이자, 인간으로서 마지막 남은 자유의 몸짓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결국 체제의 일부였다는 사실은 독자에게 아쉬운 진실을 남긴다. 저항조차 시스템 안에 포함돼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것이다.
흥미로운 건 오웰이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을 동시에 비판했다는 점이다. 이 책은 공산주의 비판서로만 읽히는 경우가 많지만, 조지오웰은 본래 사회주의자였다. 그가 겨냥한 건 ‘사상’이 아니라 ‘권력’이었다. 어느 체제든,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사고를 통제하려는 욕망이 자라기 마련이라는 걸 그는 알고있던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1984』는 정보사회에 사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여러 질문을 던진다. 스마트폰과 CCTV,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로 우리는 끊임없이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선택은 조종된 것이 아닐까? 내가 원하는 것이 정말 ‘내 것’인지, 아니면 누군가 설계한 것인지 우리는 얼마나 자주 묻고 있을까?
이 책을 읽으며 가장 와닿았던 것은, 윈스턴의 패배가 단순한 죽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잃는 과정이었다는 점이다. 끝까지 남아 있던 ‘자기 생각’조차 박살나고, 결국 그는 “빅 브라더를 사랑한다”고 말하게 되는 점. 이 장면은 현실에서도 인간이 얼마나 쉽게 체제에 길들여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 같아 굉장히 인상적인 장면으로 남았다.
이 소설은 깊고, 무겁고, 때론 혼란스럽다. 하지만 그 약간의 불편함이야말로 이 책의 진짜 가치하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