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워크 투자수업 - 전문가 부럽지 않은 투자 감각을 길러주는 위대한 투자서
버턴 말킬 지음, 박세연 옮김 / 골든어페어 / 202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랜덤워크가 알려주는 자산 배분 원리 다섯 가지

1. 위험과 보상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 위험이란 높은 수익률을 얻기 위해 반드시 지불해야 할 대가다.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우상향하는 자산을 오랜 기간 보유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가 필요한 자금에 기간에 따라 투자자산을 선정해야 된다.

2. 주식과 채권의 위험은 투자 기간에 달렸다.

- 일반적으로 주식이 채권보다 더 위험하다. 하지만 투자기간을 길게 가져간다면 주식이 채권보다 높은 수익을 안겨주었다.

3. 정액분할투자법으로 주식과 채권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 우상향하는 자산에는 몰빵 투자가 수익을 많이 안겨주지만 만약 우샹향하던 자산이 반대로 움직인다면 막대한 손해를 안게 될 것이다.정액분할투자법은 만약을 대비하기 위한 투자방법이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로 고점에서 30% 이상 하락하기도 했지만 분할 매수로 대응을 했다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물론 최저점에서 몰빵 투자를 했다면 많은 수익을 얻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운이 매번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분할투자로 접근하는 것이 마음 편할 것이다.)

4. 재조정을 통해 위험은 낮추고 수익을 높일 수 있다.

5. 위험에 대한 태도와 위험을 감당할 능력은 다른 것이다.

- 1년 안에 돈 쓸이 있다면 주식보다는 채권투자를 해야될 것이다. 위험에 대한 태도가 관대하더라도 시간이 촉박한 상황에서 손실이 발생한다면 손절을 해야되기 때문에 자신의 지출 계획을 분석하여 투자를 해야 될 것이다.

이 내용을 이제 실전투자에 접목한다면 꽤나 고민이 깊어진다. KOSPI가 우상향하는 자산인지? 기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20년 이상으로 보면 분명 우상향한 자산으로 판단된다. 그럼 20년 지난 후 사용할 연금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KOSPI에 투자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단기간 자금 운용방안은 쉽게 답을 낼 수 없었다. 주식의 변동성에 따라 어느 정도 돈을 투입해야 될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정해야 될 것이다. 지금과 같이 변동성이 심한 장에 어떻게 대응해야될지 고민이 깊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