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통방통 독도 ㅣ 신통방통 우리나라 2
박현숙 지음, 조현숙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한동안 독도를 두고 어느나라의 영토인지를 두고 분쟁?이 끊이지 않았더랬지요.
확실한 우리 영토임에도 끊임없는 분쟁의 원인은 뭔지 참...씁쓸~~
신문지면이나 뉴스에서 계속 언급되는 독도에 대한 얘기들을 무의식중에 아이들에게 흘리면서
아이들이 막연한 상대나라에 대한 적대감을 갖게 하는 것은 아닐지에 대한 생각도
불현듯하게 되기도 했지요.
이런 우리의 것을 지키기 위한 관심은 어른들만의 문제요 어른들만이 알아야 할 내용은 분명 아니지요.
아이들과 아이들의 시각에 맞는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한 내용을 희석해서 아이들에게 전달하기란
저에게는 큰 벽처럼 느껴지기도 했다는 것이요.
아이들이 좋아하고 아이들의 시각에 맞는 내용으로 늘 도움 받고 있는 신통방통시리즈 중
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의 시리즈에서 이런 저의 고민을 조금을 덜어 볼 수 있고
아이와 함께 들여다 볼 수 있는 책 독도를 만났어요.
신통방통 독도
교과연계와 잘 연계되어있는 제2의 교과서
교과서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는 많은 부분을 다루고 있는 요 시리즈의 장점!
우리나라와 이웃나라에 대한 초등1~2학년군의 통합과 3~4학년군의 국어교과서에 연계된
내용을 확인하고 들어가네요.
사토시, 유시아키 일본 친구들이 등장하는군요.
불고기 하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인데 등장하는 친구들은 일본친구들?
어떤 관계가 있을까나? 궁금증에 아이와 함께 책을 한줄한줄 읽어 갔네요.
재일쿄포 3세인 민우, 일본이름은 야스모토 요시아키라는 이름으로 불리지요.
식당을 하시는 할아버지께 틈틈이 한국말을 공부하고 있어 한국말도 잘하는 친구네요.
그런 민우의 단짝친구 사토시는 할아버지의 맛깔스런 불고기를 한점 먹기 위해 애교 넘치는
말과 행동으로 할아버지의 사랑을 같이 받고 있어요.
이렇게 그림으로만 봐서는 사토시가 할아버지의 손자처럼 보여지는군요.ㅎㅎ
그렇게 친하게 지내는 사토시와 요시아키는 어느날 학교 운동장에서 땅따먹기 놀이를 하게 되요.
요시아키가 할머니께 배운 땅따먹기 놀이를 사토시에서 설명하며 놀기 시작했지요.
헌데 놀이를 하다 보니 서로 자기땅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욕심이 생기고 경쟁심이 생기면서
놀이전 설명되지 않은 규칙에 대한 것으로 말싸움이 시작되게 되었네요.
그림으로 보는 아이들의 표정이 정말 그 당시의 그 상황에서 나올법한 리얼한 표정이
한참 시선을 잡네요.ㅎㅎㅎ
어쩜 이렇게 리얼하게 표정을 묘사했을까~?? 한참을 웃었습니다.
사토시와 요시아키가 땅따먹기를 하며 다른 친구들의 관심을 받아 주변에 친구들이 모여들고
서로의 말다툼에서 5학년 형이 끼어들며 요시아키를 공격하게 되네요.
한국사람들이 일본 땅을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것이 요시아키와 같다는 얘기로
다른 아이들의 따가운 시선까지 모두 요시아키에게 가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네요.
할아버지와 아빠에게 듣는 돋도를 지킨 안용복 어른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고
요시아키 한국이름 안민우..
민우는 안용복 어른의 후손임을 알게 되고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기 위한 안용복 어른의 업적을
듣게 되네요.
그러던 중 반크 회원인 민우아빠의 친구로 하여금 한국가수의 독도공연에 신청할 수있는 기회를 갖고
한국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네요.
우리땅 독도를 지키기 위한 많은 가수들이 공연을 펼치고 했던 것이 가상의 이야기 아니라는 것 아시죠?
말로만 들었던 반크회원
반크회원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독도를 지키기 위한 노력들을 엿볼 수 있는
보충설명과 내용들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네요.
울릉도, 독도로 가는 묵호항에서 만난 한국가수...
바로 알겠더군요.
워낙 유명하게 전국을 돌며 콘서트를 하는 가수..ㅋㅋ
독도가 우리땅임을 알 수 있는 증거들이 언급되기도 하면서 70여년만에 한국을 찾은 할아버지와
처음 한국을 방문한 민우에게 한국을 알아가는 과정과 계속 언급이 되고있는
독도가 우리의 땅임을 알수 있는 내용들이 주욱~이어지네요.
그런 내용들을 들으며 도착한 독도
독도에 살았던 지금은 멸종된 강치에 대한 이야기도 가슴내용이 같이 언급되고 있어요.
독도 강치에 대한 이야기는 아이들 학교에서 멸종위기 혹은 멸종동물에 대한 글짓기등의 행사가
있어 아이들이 열심히 조사하고 내용을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우리 영토 독도에 대한 내용은 안민우 재일교포 3세인 요시아키의 이야기로
아이들의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지요.
일본에 대한 막연한 적대감보다는 아이들의 시각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던
책인 것 같아요.
아이들이 아는것 만큼 아니 모르는 것만큼이나 저에게도 부족하고 모르는 부분이 많은 것을 알고
같이 확인하고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도 했지요.
책의 후미 마무리는 독도에 대한 좀더 자세한 정보를 세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잘 정리해 놓았어요.
아이와 함께 책을 읽으면서 쏟아지는 궁금한 사항들도 찾아보고 따로이 언급되어
같이 들여다보며 몰랐던 내용을 담아볼수도 있는 쉬어가는 페이지였네요.
신통방통시리즈를 읽으면서 저는 아이와 책속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는 편이에요.
특히나 그림으로 묘사된 책속 인물들의 상황을 추리하고 공감하면서
책에 더 많이 쏠려들어갈 수 있는 큰 부분이기도 하더라구요.
귀엽게 표현된 캐릭터이지만 그 안에 디테일하게 인물의 감정이나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어
아이와 이야기하며 공감대 느끼기에 좋은 것 같아요.^^
함께읽고 독후활동도 간단하게 하며 독도에 대한 책의 마무리를 하였네요.
아이들이 어리다고 몰라도 되는 사실은 없는 것 같아요.
아이들의 시각에 맞게 주제를 다뤄주고 아이들의 생각에 귀기울이고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며
생각을 공유하는 좋은 계기이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소중함도 더하게 느껴지는 부분이었네요.
독도에 대한 이야기는 아이들이 많이 들었기에 일본에 대한 막연한 적대심으로 접근하는 부분이 많았더랬지요.
그런 부분들을 같이 책을 통해 읽어보고 우리의 작은 관심이 우리의 땅, 우리의 영토를 지킬 수 있음을
그래서 우리의 것을 더 소중히 생각 할 줄 아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아요.
옛것에 대한 소중함은 물론이거니와 그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을 잘 받아
왜곡되지 않고 우리의 것을 지켜갈 수 있는 힘이 우리 아이들에게도 같이 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