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해야 364일
황선미 지음, 김수정 그림 / 포북 차일드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몇해전 애니메이션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책을 들여다 보게 되었던 '마당을 나온 암탉'과

초등학생이면 누구나 읽었을 '나쁜 어린이표'

두작품외에도 많지만 워낙 유명한 책으로 아이들 학교에서는 독서논술평가에서 모두 다루었던

책으로 두 책의 저자인 황선미작가의 또 다른 책을 만나보게 되었어요.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책에 담아 엄마는 성장기의 변화하는 아이를 이해하고

아이는 자신의 상황과 변화에 맞는 변화를 인식하고 공감하게 되는 성장동화 고작해야 364일을

접하게 되었어요.


아이들의 변화는 신호나 알림을 별도로 주고 오는 것이 아니기에 갑자기 접하게 되어

당황하게 만드는 일 저도 슬슬 접하고 있는 요즘이라

아이들이 읽고 바로 읽어 보았네요.



고작해야 364일


책의 제목이 말하는 고작 364일 이라하면 하루 모자란 1년을 두고 어떤 차이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궁금해 집니다요.



 





어느날 할머니와 같이 살게된 주인공 명조

삼형제 중 유일하게 아들이 있는 명조네집에는 명조보다 고작해야 364일 전에 태어나

할머니의 무한사랑을 받고 있는 반면 모든 것을 형에게 양보해야하는

본인의 상황을 아주 잘 묘사하고 있어 어느 집에서나 흔히 볼수 있는

할머니들의 장남에 대한 기대와 더욱 도드라지게 표현되는 사랑을 담박에 느낄 수 있는

집안 분위기네요.


고작 364일 먼저 태어나 누리는 것이 많은 형 윤조를 시기 할 수 밖에 없는 동생ㅋㅋㅋㅋ

동생 명조가 갖고 싶었던 컨버스 운동화를 아무 관심도 없는 형에게 빼앗기고 나서 시작된

책의 서두



 





제가 갖고 싶은 컨버스화를 신을 수 없음에 심통이 난 명조는 화를 못참고 신발 한짝을 베란다 밖으로 떨어뜨리네요.

컨버스화 한짝을 잃어버리고 호되게 혼난 명조

누구도 신을 수 없는 한짝 밖에 남지않은 컨버스화!  에고고고~~~~



 





명조는 손으로 만지는 것을 무척좋아하는데 윤조 역시나 레고와 로봇조립을 아주 좋아하네요.

보이스카우트 등 다양한 것을 하도록 하지만 뭐든 금방 싫증 내는 윤조

윤조의 유일한 취미인 로봇과 레고는 부모님이 마지 못해 하도록 한다는...

이는 장남인 윤조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한 것 같네요.



 





어떤 이유를 들어 보이스카우트 캠프에도 빠지고 선서식에 단복을 입지 않고 와

참여하지 않는 등 윤조의 행동에 화가 난 아빠는 윤조의 유일한 취미인

레고와 로봇상자를 없에 버리네요.

그렇게 시작된 윤조와 아빠와의 요상한 관계

여기에 할머니까지 같이 요상하게 엮여 있으면서 주인공 명조의 갈등도 보여지네요.



 





집에서 밥도 잘 먹지않고 말이 없어진 윤조

학교 방과후 수업에서 명조가 장난꾸러기 친구에게 그림공책을 빼앗기고 울먹이고 있을때

이를 보고 장난을 친 친구 혼내주는 윤조의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네요.

평소 보여주지 않았던 그런 행동이면서 동생을 감싸주는 든든한 형의 모습


평생 형이라 부르지 않겠노라 했던 명조에서 형의 모습은 새롭게 보여졌지요.




 




아빠와 말을 하지 않고 쪽지를 건네 본인의 의사를 말한 윤조

그 쪽지에 대한 답장이 오가는데...

윤조가 요구한 사항 중 마지막 내방이라는 문구?

아빠도 답변을 쓰지 못한 문구


사실 윤조네는 할머지께서 큰아버지댁에서 지내시다 어느날 갑자기 오시면서

방이 세개인 집에서 윤조가 할머니와 방을 같이 쓰고 있어 사실상 윤조의 방이 없었던 것이네요.


윤조의 평상시 같지 않은 모습은 그렇게 주욱~~~소리없이 요구되고 표현되어져 갔네요.




 




어느 주말 아침일찍 어딘가로 간 윤조

오후 느즈막히 나타난 윤조는 먼지 투성이로 배시시 웃고 들어섰어요.

모두 놀란 얼굴..

단짝친구네 주말 농장엘 함께 다녀와 친구 엄마가 준 채소를 한아름 들고 들어와

온종일 친구네 주말농장에서 지낸 이야기를 풀어놓네요.



 





그날저녁 윤조가 아빠에게 건냈던 쪽지의 답을 듣지 못했던 방에 대한 문제는

엄마를 통해 전달 되었어요.

결정된 사항에 대해 누구하나 뭐랄 것 없이 문제의 해결점을 찾을 수 있는 큰 해답을 얻었네요.

그렇게 문제가 해결되고 윤조가 원하는 것을 알게된 가족들

엄마의 제안으로 아빠의 부재를 틈타 온가족이 거실에서 함께 이야기 꽃을 피우며

잠자리에 들게 되네요.







얼마전 명조의 그림노트를 뺏기고 형이 도와주었던 사건이 있고

윤조에게 경고장이 날아왔네요.

누가 보냈을까요?


윤조는 걱정하는 명조와는 달리 경고쪽지에 적힌 시간에 맞춰 학교 체육관 뒤로 가요.

명조는 친구들에게 도움을 요청해 많은 친구들이 같은 장소에 모이게 되요.

하지만 모두의 걱정을 뒤로하고 아주 쉽게 문제가 해결되네요.



 





책읽는 동안 이런저런 공감대와 함께 아이들의 성장하는 모습 조금씩 그 변화를 표현하고

성숙해지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네요.

마냥 어린아이가 아니고 저마다 표현하는 방법은 달라도 나름의 방법으로

아이들 스스로 성장통을 겪으며 자라고 있다는 것이지요.


책속 등장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는 저마다의 성장하는 모습

저도 바로 옆에서 늘상 보고 느끼고 있지요.

가끔은 그런 변화를 엄마의 눈높이로 생각하고 무시하거나 지나쳐버리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그런 사소함에 아이들이 상처를 받고 저마다의 속마음을 가둬버리는 일이 생길 수 있음을

저마다 표현방법이 다른 아이들에 대한 조금의 배려와 이해가 있었으면

서로 잘 소통하고 문제를 어렵지 않게 풀어 나갈 수 있음을 생각하게 되네요.


아이들의 성장동화지만 사실 저는 아이들의 이런 성장하는 모습을 그려낸 책속 인물들과

설정된 상황등을 과히 무시할 수 없고 많은 공감대를 가지고 같이 성장하게 되는

큰 계기가 되더라구요.


이번에도 역시나 고작해야 364일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 저도 같이 성장하고 있음을 가슴깊이

느끼게 한 책이었네요.



 





아이들의 작은 변화에 좀더 귀기울여 서로 아프지 않게 성장 할 수 있도록 사랑담긴

시선으로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좋은 격려가 된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