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통방통 우리 놀이 ㅣ 신통방통 우리나라 4
송윤섭 지음, 백명식 그림, 김숙경 감수 / 좋은책어린이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요즘 아이들은 밖에서 노는시간이 많이 없지요.
아파트 단지안에서만도 놀이터는 한동 걸러하나씩 있지만
그곳에서 아이들의 북적거리고 깔깔거리며 뛰노는 모습은
자주 볼수없는것이 요즘 아이들의 현실이지요.
친구들과의 생일파티에서도 집안에서 게임기나 책 보드게임으로 즐기지
밖에서 뛰어노는 일은 많지않은것 같아요.
제가 어릴적 바깥놀이가 대부분이었던 때는
학교다녀와 책가방 던져놓고 해질때까지 친구들과 흙놀이에 여념없었던 그때
땅따먹기, 비석치기, 구슬치기,다방구, 술래잡기, 말타기등
놀거리가 나름 다양했더랬는데..ㅋㅋ
곧 다가오는 설명절을 앞두고 아이와 우리 전통놀이에 대한것을 책으로 만나보았네요.
신통방통 우리놀이
외출하는 길에 오늘은 게임기가 아닌 책을 들고 나왔어요.ㅋㅋ
초등교과에서 우리놀이에 대한 것을 얼마나 다루고 있을까?
잊혀지고 있는 우리놀이에 대해 아이들이 얼마나 알고 있을지 책을 펼치기전에 몹시 궁금하네요.
우리놀이에 대한 내용은 책의 표지에서 확인하지 1~2학년군에서만 언급이 되나봐요.
아쉽네요.
시대는 명확하게 나오지않았지만 책속 주인공이 있는 오랜 과거로 재미난 우리놀이를 찾아 같이 여행하네요.
책속 주인공 한강돌이는 동생손을 잡고 정월대보름 달맞이를 위해 산을 오르네요.
힘들어하는 동생과 잠시 쉬며 부럼을 깨고 부럼을 깨는 이유를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한강돌이..
마을사람들이 산중턱 공터에서 맞는 달맞이 행사에는 달집태우기 준비가 한창이고
한강돌과 동생은 산을 더올라 다른사람들 보다 더 높이 올라
보름달을 먼저 맞고자하네요.
한강돌과 동생은 간절히 바라는 소원이 있는데 다른이들보다 먼저 보름달을 맞고 소원을빌면
소원이 더 잘이루어진다는
얘기에 더 간절히 소원을 빌러 산을 오르네요.
아프신 엄마의 빠른쾌유와 아버지의 빠른 귀가를 소원하는 한강돌
스토리이에서 언급되는 우리놀이에 대한 내용은 놀이기록장을 통해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요.
아는 놀이는 직접 설명할 수 있지만 과거 저의 어릴적에도 놀이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놀이는
요기 놀이기록장의 설명을 통해 같이 확인 할 수 있었네요.
마을사람들의 정월대보름 행사를 지켜보던 한 선비가 놀이에 대한것을 묻네요.
친절한 설명과 함께 대보름행사에 참여하는 강돌이
선비는 아이들의 놀이들을 더 살피고 마을 행사를 글로 옮기며 기록을하며 한강돌의 도움을 받네요.
골목대장으로 못하든 놀이가없고 뭐든 잘하는 강돌이를 통해
다양한 놀이를 체험하게 되네요.
그러면서 아버지에 대한 얘기와 아프신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선비는 한강돌에게
함께 아버지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이야기하며 함께 길을 떠나네요.
한강돌의 똘똘함과 골목대장으로서의 신사다운 배틀?ㅋㅋ은 이야기속 곳곳에서 볼 수 있네요.
연싸움을 하는데 이런 단어가..."사금파리"
사실 요거이 뭔지? 저도 잘 몰라 책에서 도움말로 설명하고 있는 이말은 이런뜻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더라구요.
선비와 한강돌의 아버지를 찾아 나선 길은 아주 재미나더라구요.
똘똘하면서 다양한 놀이에 능한 한강돌의 제안으로 함께하게 되는 놀이로 선비는 한수 크게 배우네요.ㅎㅎ
아버지르 찾아 나선 길에서 여러 친구들을 만나고 더 많은 놀이를 접하게 되며 재미나게 여행을 하네요.
과거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는 때는 지금의 차로 빠르게 다닐 수 있는 거리를
걸어서 다녀야 하네요.
지도상의 거리는 짧아 보이지만 걷기에는 쉽지 않은 거리를 선비와 한강돌이
재미난 우리놀이를 접하게 가게 되요.
한강돌과 선비의 아버지를 찾으며 우리놀이에 대한 것을 알아가는
여행길은 평탄하지만은 않네요.
걸어서 이동하는 길이 지금의 평탄한 도로가 아닌 산길, 들길을 걸어야하니 말이죠.
이렇게 이동 중 산적?산에서 만난 도적에게 아버지를 찾아가는 길에 득템한 물건들을 모두 빼앗기네요.
이를 되찾기까지의 노력이 아주 흥미롭게 펼쳐지네요.
산에서 만난 도적이 고누를 아주 좋아한는다는 걸 알고 도적과 한판 붙게 되요.
과연 승패는 어찌 될는지???
다양한 우리놀이를 소개하고 있는 책내용을 들여다보며
아이가 접해보지못했을 놀이에 대한 것을 설명하고 물으니
의외로 많은 우리놀이를 알고있는 딸램
요즘은 교과에서 다루는 내용은 작은데 반해 재량수업이나 기타수업에서 이런 놀이를
접할수 있도록 하더라구요.
그 중 비석치기 이야기를 하며 배치기는 어려워 못해봤다는둥 우리놀이를 해본 곳을
두런두런 이야기로 나눠보네요..ㅋㅋㅋ
언제 따뜻한날에 아이와 놀이터서 요런 놀이 같이 해보는 것도 좋을것 같더라구요.ㅋ
지난번 한성백제박물관에 갔을때 우리놀이를 체험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저에게 생소했지만 딸램은 해보았다는 고누
책에서 자세한 설명과 그림과 함께 방법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어
잘몰랐던 저도 알 수 있었네요.
외출해서 돌아와서 바로 윷을 꺼내어 윷놀이를 제안하는 딸램
컴퓨터 게임이나 게임기를 뒤로하고 온가족이 함께 즐길수 있는 전통놀이로
아이와 함께 우리놀이에 대한 것도 즐기고 그속에서 나름의 휴식과 지혜를 배워보는 시간을 갖었네요.
우리전통을 이해하고 놀이에 대한 재미도 더해 보는
휴식같은 시간 아이들과함께 즐겨볼수있었던 시간이었네요.
나름의 놀이도 즐기고 독후활동을 통해 좋은 마무리가 되는 시간이었답니다.

곧 다가오는 설명절과 설날 이후 정월대보름에 아이들과 해 볼 수 있는 다양한 놀이들을
같이 해 보며 우리 전통에 대한 이야기와 우리놀이를 통해 정겨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