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번째 대멸종 - 2015년 퓰리처상 수상작
엘리자베스 콜버트 지음, 이혜리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여섯번째 대멸종

멸종... 사라진다는것. 인류가 존재하면서 많은 생명들이 멸종해갔다. 우리들이 아무렇지 않게 쓰는 에너지로 인해 환경이 변하고 그로인해서 많은 변화가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에따라서 지구는 그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책은 그동안 지구상에서 살았던 생명이 어떻게 멸종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동안 다섯번의 대멸종이 있엇으며 앞으로 여섯 번째의 멸종은
인류가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섞인 말을 하고 있다.

뉴요커의 전속기장이자 "지구재앙보고서: 지구 기후 변화와 온난화의 과거.현재,미래"의 저자이다.
여섯번째 대멸종은 저자와 함게 지질학자, 식물학자, 해양 생물학자와 여러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멸종된 동물을 조사하고, 인류가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를 진행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사실 나같은 일반사람들이 동물들이나 식물들이 멸종된다고 해도 크게 피부에 와닿지는 않는다. 그냥 뉴스에서 나오면 안타깝다고 말할뿐...
책을 보다보니 얼마나 많은 동식물들이 우리가 알지 못하게 죽어가고 있는지 알게되었다. 이제 여섯번째가 인류가  될지 모른다는 점도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알게 모르게 벌써 우리의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일들이 바로 나를 포함한 모든 인류가 원인이라는것 그리고 마지막에는 그 원인인 인류
씁슬한 일이다. 다윈이 말한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사라지는게 아니라 우리들 인류때문이라니..

모처럼 소설이나, 자기계발서적이 아닌 이런 종류의 책을 읽은것이 단순의 우리의 지식을 넓혀주는 일 뿐만 아니라 나 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생각하고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로 삶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좀 더 나아가 뜻이 생기고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소설보다 낯선 분야라 책을 읽는 좀더 시간이 많이 필요했지만 좋은 시간이 되었었던것 같다.


첫 번째 대멸종: 오르도비스기, 4억 4천3백만 년 전, 27%의 과와 57%의 속이 멸종
두 번째 대멸종: 데본기, 3억 7천만 년 전, 19%의 과와 50%의 속이 멸종
세 번째 대멸종: 이첩기, 2억 4천5백만 년 전, 57%의 과와 83%의 속이 멸종
네 번째 대멸종: 트라이아스 기, 2억 1천5백만 년 전, 23%의 과와 48%의 속이 멸종
다섯 번째 대멸종: 백악기, 6천6백만 년 전, , 17%의 과와 50%의 속이 멸종

그리고 지금(인류세라고 지칭한다) 여섯 번째 대멸종이 일어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