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화면 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 중독과 저항, 새로운 정체성의 관문
김지윤 지음 / 사이드웨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 세계, 즉 ‘화면’이 유해하다는 단순하고도 뭉툭한 선언에 늘 의구심이 있었다. 편의성을 제외하고는 집중력 저하, 사유의 종말 등으로만 우려되는 이 세계가 과연 말그대로 해롭고 위험하기만 한 것인가. 책은 태어날 때부터 화면과 함께 자라온 MZ세대 아이들의 세계를 필두로 화면과 함께 살아가는 삶에 대한 정체성을 설명한다. 중독과 일탈로만 인식되어 온 게임을 통해 아이들은 세상과 사회성을 배우고, 다양한 미래를 구축하기도 하며, 온라인을 통해 연대와 결속을 배운다는 것. 책은 이제는 온라인 디폴트의 미래를 인정하고, 흐릿한 우려보다는 지속 가증성을 위한 보다 섬세한 제도와 교육 등의 사회적 조치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만 책을 읽고 나서도 여전히 풀리지 않는 질문들이 있다. 과연 10초 미만의 쇼츠와 릴스에 최적화된 우리의 뇌가 ‘찾아내고 궁리하고 돌파하는 연습’을 해낼 수 있을 것인가. 호흡이 짧고, 리셋이 언제든 가능한 게임의 세계에 익숙해진 이들이 현실 세상에서의 ‘실패’ 경험을 이겨낼 지구력과 강단을 어디에서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앞서 말했듯 책이 지향하는 방향은 공감해 마지 않으나, ‘어떻게’에 대한 물음표가 다시 남았다.

무엇보다 책을 읽으며 다시금 느낀 건, 대부분의 기성세대, 기득권자가 된 플랫폼 생산자를 제동하는 제도적 조치와 사회적 책무에 대한 고민이 더 시급하다는 것. 크리에이터든 관중이든 소비자는 플랫폼 생산자의 룰을 넘어서기 어렵다. 그러니 결국 이 문제는 기성세대의 몫이라는 것. 세대차로 치부하지만 말고, 잘 알아야 한다는 것. 읽고 나서도 물음표가 가득 생기는 책이고, 이 물음표를 갖고 살아야 할 어른들을 위한 책이다.

“어떤 도구가 ‘당신을 유혹하고, 조종하려 하고, 당신에게 뭔가 요구한다면’ 더는 그것이 단순한 도구에 그치지 않는다고 그는 힘주어 말했다…. 답을 미룬 질문이 부채로 늘어난다. 어디까지 받아들여야 할까. 지혜를 구하는 사이, 화면을 만드는 손길은 거침없고 대범한 행보를 이어간다. 새로운 규범이 필요하다고 아이들이 외치는 동안에도 맹목적인 질주는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