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게 재밌게 나이듦 - 일용할 설렘을 찾아다니는 유쾌한 할머니들
김재환 지음, 주리 그림 / 북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도 숫자도 못 읽는 할매들이 가나다라 삐뚤삐뚤 그리고 있는 교실의 풍경, 믹스커피 후루룩 후루룩 마시면서 고스톱 치는 마을회관 풍경, 화려하지도 반짝이지도 않는 시간이 멈춘 것만 같은 휑한 촌동네에도 따뜻하고 고운 풍경이 지천이구나. 노래자랑 두 번째 나가신 곽두조 할머니 뒤에서 (마치 이번에 또 땡하면 면사무소를 불살라버리겠다는 무력시위처럼) 막춤 선사하시던 친구 할머니들 이야기에서는 한참 빵 터졌고, 배꽃 흩날리는 ‘엄마의 무덤’ 에 가서 ‘엄마’ 라고 나지막이 부르시던 박금분 할머니 이야기에서는 책 부여잡고 엉엉엉 울었다. 칠순이 되어도 배움은 설렘이고, 팔순이 되어도 엄마가 보고싶고, 죽음이 목전이어도 봄바람 불면 쑥 뜯으러 다니고 싶은 거였구나.

<선량한 차별주의자> 에서는 이런 문장이 나온다. ‘나에게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 구조나 제도가 누군가에게 장벽이 되는 바로 그때, 우리는 자신이 누리는 특권을 발견할 수 있다.’ 고. 글과 숫자를 읽고, 어플로 기차표를 끊고, 지팡이나 유모차 없이 여기저기 다닐 수 있는 것도, 누군가에게는 평생 못 해봐 한이 될 수도 있는 거구나. 키오스크로 주문하는 게 늦다고 뒤에서 발을 동동 구르며 무언의 압박을 해대던 내 비정하고 오만했던 일들이 마구 쏟아져서, 책을 읽는 내내 빵빵 터지게 웃기고 뭉클하다가도, 여러번 머리를 괴고 울고 싶어졌다.

고발 다큐로만 기억하던 김재환 PD님의 작품이라서 더 좋았다. 세상을 바로잡고자 하는 이의 시선 안에, 날선 냉소만이 아니라 이토록 따뜻한 온기가 있어서. <타인에 대한 연민> 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나왔지만, 정의를 주장하는 기저가 희망인지 두려움(혹은 분노, 혐오)인지에 따라서 세상은 아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니까.

젊음을 특권이 아닌 선의로 사용해야지. 엄마한테 자주 연락해야지. 그리고, 최선을 다 해 자주 웃고, 고운 문장들을 머릿속에 가득 집어 넣어야지. 칠곡할머니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