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배와 혐오 - 모성이라는 신화에 대하여
재클린 로즈 지음, 김영아 옮김 / 창비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 그대로모성과 어머니에 대한 존재는 숭배인 동시에 혐오가 된다절대적인 사랑을 강요받으면서도그러한 절대적인 사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많은 부작용들에 대해 어김없이 독박을 쓰고혐오의 대상이 된다어머니가 된 이후 여성으로서 혹은 독립적인 개인으로서의 내적 삶은 불가하며이러한 현상은 당연하거나혹은 미담으로 포장 되는 경우가 절대적이다어머니로서의 여성은 그 아래 깔려 압사당한다.


간과하던 것들이 보였다어머니 이전의 여자누군가의 절대적인 보호자 내지는 양육자 이전에 독립적인 한 개인그 관점으로 어머니라는 타이틀에 얹혀진 무게를 가늠해보니놓치고 있는 것들이 너무 많았다모성으로 미화되는 완벽한 사랑이라는 것이나약한 인간으로 가히 해낼 수 있는 것인지신의 돌봄이 세상 구석구석 미치지 않아 어머니를 보냈다는 헛소리가이 땅의 어머니를 얼마나 학대하고 있었는지.


또한 어머니의 절대적인 사랑과 의존이 자식에게도 얼마나 큰 멍울이 되는 지우리는 이제 잘 안다나 역시 엄마가 너는 내 인생 유일한 행복이야’ 라는 말을 할 때마다정말 숨이 턱턱 막혔다내가 엄마에게 절대적인 사랑을 받아 만들어진 이유로엄마라는 거대한 존재를 행복하게 하는 유일한 이유가 된다는 것그 얼마나 상호 가학적인가책에서도 나오듯요구가 강할수록 기대는 기만적이다.  


책은 기존의 숭고한 모성의 정의와 사회적 기대를 낱낱이 풀어 헤치며 문제점들에 대해 조곤조곤 반박하면서동시에 새로운 어머니 되기를 제시한다. ‘내새끼가 아닌 철저히 타인’ 으로서 존재하게 하는 것그리하여 어머니’ 역시 독립된 개인으로서의 권한을 회복하는 것쓰면서도 어렵다정말 갈 길이 멀다는 생각에주저 앉고만 싶다하지만 어머니에게도 자식에게도 폭력적인 이 모성 신화의 철옹성은 한 번은 무너져야 한다그리고 이 책은 그 여정을 탄탄하게 뒷받침 할 기본서가 되어 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