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동문선 고전을 만나는 기쁨 1
심후섭 엮음, 권문희 그림 / 처음주니어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동문서
고전이란 엣 어른들의 마음의 지혜와 기쁨이 가득하게 전해지기 때문에 더욱 밝은 미래를 위해서 꼭 필요한것이다.

이책 어린이를위한 동문선(東文選)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후반부터 조선시대 중반까지 학자나 선비들의 글 가운데 꼭 어린이들이 읽엇으면  훌륭한것만 가려 뽑아서 엮는 문집이다.

 

최치원의 "너는 어서 항복하라"는 난리를 이르킨 황소에게 항복을 권하는 내용이 들어있는 이글은  사람들을 움직이는글이라할수 있를 정도로 훌륭한 글이라 할수 잇을것이다.

임춘의 "저기 저 기러기야"는 친구가 준 기러기 그림을 보고 느낀점을 적은 글이다. 기러기의 모습속에 닮지 말아야할것들은 스스로 닮지 말자고 다짐하기도하고 특히 서로의 우정을 닮은 모습은 간직할 부분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규보"과열나무 접붙이기를 보고"는 우리가 그냥 스치고 지나갈 부분도 그 일을 보고 깊은 교훈을 찾아내는 지혜를 보여주고 있네여.그리고 이규보 아버지의 접붙이는모습을 아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나무도 접붙이면 좋은 열매를 갖듯이 인간도 열심히 노력하면 큰 인물이 될수 있다는것은 아버지가 이규보 아들에게 몸소 접붙이는일로 보여줌으로써 지혜를 찾아내고 힘을 길여주었다고 합니다.

 

안축"경포대에 다녀와서"는 경치를 보는 데에 어떠한 눈을 가져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는 교훈을 주며 최해의"양주 고을 원에게"는 벼술아치들가 해야할 일을 나타내는 사람이 알아야 할 경영 지침을 말해 주고 잇다.

이곡의 "채마밭을 가꾸며"는 먹을것이 부족해서 고생하는 백성의 모습에서 고생할때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 지혜가 닮고 있으며.이색의"성거산 바위에 올라앉아"에서는 자연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헤의 이야기를 담고 있네요.

이존오의 "신돈에게 벌을 내리소서"는  신돈의 잘못을 고하는 상소문으로써  임금보다 더큰 권력을 가지고 있는신돈에게 잘못을 고한다는것은 목숨을 내 놓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인것이다.그러나 이존오는 목숨을 버릴각오로 바로잡으려 한점에 큰 점수를 주고 싶네요.

이첨의 "들판을 바라보며"는 벼술을 떠나 시골생활을 하면서 겪는일과 느낌을 적은 글로써 자연과 더불어 욕심을 버리고 살아가는 모습의 지혜를 담고 있네요.
조선시대의 정도전의"귀신에게 감사드리다"는 유배중 귀신을 만나서 처음에는 인정하지 않았지만 사람도 온전한 사람이 되지못하면 귀신처럼 된다는을 깨닫음으로 귀신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저다고 합니다.

 

동문선에는 을지문덕과 같은 고구려 무장을 비롯하여 그외에 권근 .하륜.변게량.신개님등의 모두 500여 선비들의 작품 4천3백여편이 실려 있습니다.

이 책속에는 다양한 격문,제문,기록문,일기,기행문등 다양한 글을 통해 당시의 사회 형편은 물론 생각과 태도까지 짐작할수 있답니다.

그러므로 선비들의 아름다운 정신과 교훈을 듬뿍 느끼게 할수 있는책이라 행복함을 느끼게 합니다.

지혜로운 선비님들의 이야기속에 지혜를 하나하나 배우므로써 요즘같은 어려운 현실속에서 큰 힘을 얻을수 있는 동기부여되는것 같아 좋았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